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추천0 조회수 27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문의하기

※ 문의내용은 담당자 검토 후에 답변 드립니다.
 답변 내용은 마이페이지 > 문의하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필수입력
분류
이미지
저작물명
필수입력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1유형 출처표시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삼국시대에 나타나는 굽은 없으나 뚜껑이 덮여 있는 접시. 일반적으로 뚜껑과 접시가 함께 세트를 이룸.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굽다리 접시의 뚜껑을 뒤집어 놓은 것과 같은 모양으로 몸통의 높이가 낮고 작은 그릇 위에 얕은 뚜껑이 덮힌 형식이다. 밑바닥은 둥그렇게 도드라져 있으며 뚜껑받이가 곧추선과 곧추서지 않고 올라가 몸통의 곡선을 잇는 것처럼 약간 안쪽으로 휘어진 것이 있다. 뚜껑받이에는 아랫단에 뚜껑을 받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뾰족하게 돌출된 단이 돌려져 있다. 몸통을 덮는 뚜껑은 무늬가 없는 것이 특색이며 표현이 완만하고 드림새가 밖으로 외반되거나 안쪽으로 휜 경우도 있다. 뚜껑의 형식은 크게 꼭지가 달린 것과 달리지 않은 것으로 구분하는데‚ 백제. 신라. 가야 등 지역에 따른 특징을 보인다. 충청도 이남 특히 영산강 유역에서 많이 출토되는 백제의 뚜껑접시는 공주도읍 후에 유행을 보이는 독특한 용기인 세발토기의 다리를 떼어낸 모습이며 대체로 꼭지가 붙지 않는다. 가야나 신라 지역의 뚜껑접시는 이들 지역의 뚜껑굽다리접시에서 굽다리를 떼어낸 양식으로 꼭지가 달려 있다. 이러한 뚜껑접시는 일본의 스에끼(須?器)토기에서도 나타나 5세기 이후에 활발한 유행을 보이는데 백제의 토기제작기술의 전파를 반영하고 있다. 한편 기능적인 면에서의 이 용기는 일반적인 생활용기라기보다는 의식수행에 필요한 식품공헌용의 가능성이 크다. 이 개는 드림의 일부가 결실되었다. 단추형의 꼭지가 부착되어 있는데 중앙이 오목한 형태이다. 기신은 편평하게 벌어져 내려오다 날카로운 드림턱을 형성하고 있다. 드림부는 약간 외반되고 있다. 드림부 끝은 편평하게 처리하여 마무리하였다. 기신 외면은 2조의 침선이 비정연하게 돌아가고 침선사이에 우점문이 돌아가고 있다. 태토는 석립과 사립이 섞여 있어 거칠다. <참고문헌> 안승주‚ 1984‚ ‘백제토기의 개관’‚ “백제토기도록”‚ 백제개발연구원. 최인선.이동희‚ 2001‚ “순천 용당동 망북 유적”‚ 순천대학교박물관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