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무릉계곡 (東涇 武陵溪谷)_동해 무릉계곡(촬영:문화재청)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 저작물명
- 동해 무릉계곡 (東涇 武陵溪谷)_동해 무릉계곡(촬영:문화재청)
- 저작(권)자
-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5 건)
- 출처
-
- 이용조건
-
- 공표년도
-
- 창작년도
- 2015-05-29
- 분류(장르)
- 사진
UCI 로고
- 요약정보
-
동해 무릉계곡에 대한 설명입니다.『동해 무릉계곡』은 동해시 두타산과 청옥산을 배경으로 호암소로부터 시작하여 용추폭포가 있는 곳까지의 약 4㎞에 달하는 계곡으로 수백명이 앉을 만큼 넓은 무릉반석과 호암소‚ 선녀탕‚ 장군바위‚ 쌍폭‚ 용추폭포 등 다양한 하천지형이 스펙트럼처럼 펼쳐져 ‘동해안 제일의 산수’라 할 정도로 아름다운 자연경관의 백미를 보여주는 곳이다.
무릉계곡은 고려시대 동안거사 이승휴가 살면서 <제왕운기>를 저술하였고‚ 조선 선조 때 삼척부사 김효원이 이름을 붙였다고 하며‚ 1‚500여평의 무릉반석에는 조선 전기 4대 명필가의 한 분인 봉래 양사언의 석각과 매월당 김시습을 비롯한 수많은 시인묵객들의 시가 새겨져 있는 등 무릉계곡의 곳곳이 옛 선비들의 풍류공간이자 종교적 수행처로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뛰어나다.
폭포 및 기암절벽들이 뚜렷한 절리 등 단열에 의해 형성되고 있으며‚ 특히 쌍폭은 두 방향의 절리들이 교차하여 만들어지고 용추는 동서 방향의 절리로 형성된 절벽에 따라 소가 형성되어 특이한 경관을 연출하는 등 무릉계곡에 나타나는 단애 및 폭포 등이 전형적인 화강암 계곡의 침식 및 퇴적 지형을 나타내고 있어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명승지이다.
- 저작물 파일 유형
-
- 저작물 속성
-
1
차 저작물
- 공동저작자
-
1유형
- 수집연계 URL
-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 분류(장르)
-
사진
- 원문제공
-
원문URL
저작물 정보 레이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