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겨울바다 녹색채소‘전남 찰 매생이’생산

추천0 조회수 25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문의하기

※ 문의내용은 담당자 검토 후에 답변 드립니다.
 답변 내용은 마이페이지 > 문의하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필수입력
분류
어문
저작물명
겨울바다 녹색채소‘전남 찰 매생이’생산
필수입력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겨울바다 녹색채소‘전남 찰 매생이’생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5 건)
출처
이용조건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1유형 출처표시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3-01-08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겨울바다 녹색채소‘전남 찰 매생이’생산 2013-01-08 대변인실 겨울바다 녹색채소‘전남 찰 매생이’생산【해양수산과학원】550-0633 -완도?고흥?장흥 해역서 1만여 책 양식…100억 원 어가소득 기대-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은 겨울철 별미인 ‘전남 찰 매생이’ 생산이 본격 화됐다고 8일 밝혔다. 전남해역의 매생이 양식은 완도 고금면?약산면 어촌계 등‚ 고흥 도양읍?금산면 어촌계 등‚ 장흥 해역 일원에서 약 1만 2천283책이 시설돼 전년보다 다소 늦은 1월 상순부터 본격적인 채취가 시작됐다. 예년에 비해 겨울철새들에 의한 매생이 식해(食害)가 심해져 생산량 감소에 다소 영향을 미쳤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생산량은 2천여 톤으로 약 100억 원 이상의 어가소득이 기대된다. 이런 가운데 고흥군은 시장 판매도량을 기존 ‘재기(한주먹 덩어리)’에서 미터법(kg)으로 개선해 시행함으로써 경영 합리화와 일손 덜기에 기여하는 등 매생이 양식을 겨울철 어가 효자품목으로 육성하고 있다. 매생이는 남부지방 바닷가에서 오로지 겨울철에만 만날 수 있는 녹색 해조류 중 하나다. 특히 전남 남해연안에서 생산되는 매생이는 다른 지역에 비해 찰기가 더해 유명세를 타고 있으며 특유의 향기와 맛은 전국적인 식도락가들로부터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전남해양수산과학원은 매생이 채묘 시기의 수온 등 해황 및 양식정보를 양식어업인들에게 손전화(핸드폰) 문자메시지로 전달하는 등 적극적인 양식기술 지도?보급으로 지속적인 어가소득원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이전글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중국 관광객 유치 총력 2013-01-08 다음글 1월 AI 발생 가능성 최고조…차단방역 강화를 2013-01-08 리스트 전체게시물(25844) / 전체페이지(2585) 보도자료 게시판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등 정보제공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파일 조회 16904 완도해조류박람회‚ 광주은행이 홍보 지원 대변인실 2013-01-08 540 16903 전남도 공무원 사랑의 손길 앞장 대변인실 2013-01-08 530 16902 전남도‚ 에너지 빈곤층에 연탄 추가 지원 대변인실 2013-01-08 515 16901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중국 관광객 유치 총력 대변인실 2013-01-08 582 16900 겨울바다 녹색채소‘전남 찰 매생이’생산 대변인실 2013-01-08 552 16899 1월 AI 발생 가능성 최고조…차단방역 강화를 대변인실 2013-01-08 519 16898 박 지사‚“연구하고 부패 없는 공직사회를” 대변인실 2013-01-07 925 16897 축산물 산지 가공장 확충으로 경쟁력 강화 대변인실 2013-01-07 1009 16896 해안섬산악 사고 구조 빨라진다 대변인실 2013-01-07 716 16895 전남도‚ 올 중소기업 육성자금 1천550억 지원 대변인실 2013-01-07 851 891 892 893 894 895 896 897 898 899 90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jeonna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