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구실잣밤나무 (난대수종)

추천0 조회수 438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문의하기

※ 문의내용은 담당자 검토 후에 답변 드립니다.
 답변 내용은 마이페이지 > 문의하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필수입력
분류
어문
저작물명
구실잣밤나무 (난대수종)
필수입력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구실잣밤나무 (난대수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5 건)
출처
이용조건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1유형 출처표시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구실잣밤나무 (난대수종) 작성자 김영환  작성일 2009-10-09 조회수 785 전화번호 촬영일 촬영지 야생화 촬영자 키워드 카테고리 내용보기 구실잣밤나무 과  명 : Fagaceae (참나무과) 속  명 : Castanopsis (모밀잣밤나무속) 학  명 : Castanopsis sieboldii (Makino) Hatus. 영  명 : Sieboldii Chinquapin 일본명 : スダジイノキ   제주도와 남부의 일부 해안 및 섬(거문도‚ 완도‚ 거제도. 홍도 등)의 600미터 이하 지대의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라는 상록 난대교목이다.  흉고직경  1미터‚ 수고 15미터까지 자란다. 일본‚ 중국. 대만에도 분포한다. 자웅동주(암수한그루)‚ 자웅이화(암수딴꽃)이다.  6월에 꽃이 피고‚ 다음 해 10월에 결실한다. 햇빛에는 중용수에 가까운 음수이며‚  뿌리는 직근·심근성이며 잔뿌리가 적다. 종자는 충해가 많고‚ 건조를 싫어하므로 채취즉시 이황화탄소 등으로 훈증하든지 3~4일간 침수하여 살충한 후 토중매장하든지  보습 저온 저장하여야 하며‚ 저온 발아하므로 이듬해 3월 중에 파종하여야 한다. 열매는 식용‚ 목재는 건축재‚ 선박재‚ 버섯재배용‚ 농기구재‚ 관상수로 쓰인다. 첨부파일 구실잣밤나무.jpg [2097152 byte]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forest.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