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통영오광대가면-팔선녀(八仙?)

추천0 조회수 117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통영오광대가면-팔선녀(八仙?)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팔선녀탈은 통영오광대놀이 풍자탈과장(양반과장)에 등장하는 탈의 하나이다. 탈은 사람이나 동물의 얼굴 모양을 만들어 주로 얼굴에 써서 분장(扮裝)에 사용하는 것이다. 한자어로는 면(面)‚ 면구(面具)‚ 가면(假面)‚ 대면(代面)‚ 가두(假頭)‚ 가수(假首) 등이라 하였다. 우리말로는 광대‚ 초라니‚ 탈‚ 탈박‚ 탈바가지 등이라 하였다. 이 팔선녀탈의 얼굴 바탕은 흰색이다. 양 볼에 고동색 연지가 찍혀 있다. 그리고 양쪽 귀도 고동색으로 칠해져 있다. 눈과 입은 뚫려 있고 코는 길다. 눈썹은 검은색이다. 팔선녀는 여자 복색에 족두리를 하고 등장하여 춤을 춘다. 통영오광대놀이는 초계 밤마리의 오광대를 큰집으로 하고 있다. 낙동강 유역 초계 밤마리에서는 193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오광대가 공연되었다고 한다. 이 오광대를 놀았던 대광대들이 각 지방으로 순회공연을 하면서 창원·통영·고성 등지로 퍼져 나갔다. 이렇게 통영에서 전승되어 오던 통영오광대는 1964년 중요무형문화재 제 6호로 지정되었다. 통영오광대는 다른 오광대와 마찬가지로 현실 폭로나 풍자를 한다. 이것을 통해서 조선조 중엽의 양반계급과 그들의 형식적인 윤리에 대한 일종의 비판정신을 구체적으로 연출한 가면극이라 할 수 있다. 통영오광대는 제5과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과장은 문둥탈춤이다. 제2과장은 풍자탈놀이이다. 제3과장은 영노탈놀이이다. 제4과장은 농창탈놀이이다. 제5과장은 포수탈놀이이다. 통영오광대에 사용되는 가면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문둥이양반(문둥탈)‚ 홍백양반‚ 비틀양반‚ 둘째양반‚ 곰보양반‚ 검정양반‚ 조리중‚ 원양반‚ 말뚝이‚ 팔선녀(8)‚ 영노‚ 비비양반‚ 할미양반‚ 할미‚ 제자각시‚ 상좌(甲‚乙)‚ 봉사‚ 애기‚ 큰상제‚ 작은상제‚ 몽돌이‚ 포수‚ 담보‚ 사자 등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가면극(이두현‚ 일지사‚ 1979)‚ 한국 민속극 연구(강용권‚ 제일문화사‚ 1997)‚ 한국의 탈(국립민속박물관‚ 1982)‚ 한국민족대백과사전-탈‚ 탈놀이-(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사진자료> 한국의 탈(국립민속박물관‚ 1982) <유사관련용어> 탈‚ 면‚ 면구‚ 가면‚ 대면‚ 가두‚ 가수‚ 광대‚ 초라니‚ 탈박‚ 탈바가지‚ 통영오광대놀이‚ 비틀양반‚ 오광대‚ 통영오광대‚ 문둥이양반(문둥탈)‚ 홍백양반‚ 둘째양반‚ 곰보양반‚ 검정양반‚ 조리중‚ 원양반‚ 말뚝이‚ 팔선녀(8)‚ 영노‚ 비비양반‚ 할미양반‚ 할미‚ 제자각시‚ 상좌(甲‚乙)‚ 봉사‚ 애기‚ 큰상제‚ 작은상제‚ 몽돌이‚ 포수‚ 담보‚ 사자‚ 가면극‚ 팔선녀탈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