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대구] ‘가까운 옛날-사진으로 기록한 민중생활-’

추천0 조회수 49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대구] ‘가까운 옛날-사진으로 기록한 민중생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04-08-26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게시글 상세 보기를 등록일‚ 조회수‚ 기간‚ 담당자‚ 등록일‚ 조회수로 나타낸 테이블 입니다. [대구] ‘가까운 옛날-사진으로 기록한 민중생활-’ 등록일2004-08-26 조회수1496 담당자 장용준 () 국립대구박물관2004년 가을 순회특별전 개최‘가까운 옛날-사진으로 기록한 민중생활-’  국립대구박물관(관장 김정완)은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단장 박현수)과 공동으로 9월 10일(금)부터 10월 24일(일)까지 “가까운 옛날-사진으로 기록한 민중생활-” 특별전을 개최한다. 금번 특별전에 출품된 100여점의 사진은 이형록‚ 김기찬‚ 구와바라 시세이(桑原史成) 3인의 사진작가가 1950~1970년대 서울‚ 강릉‚ 울릉‚ 거제‚ 부산 등 여러 지역에서 촬영한 것으로 일반 민중의 생생한 삶의 모습과 옛 정경을 담은 것이다.  우리나라는 1950~1970년대 초반에 고도의 경제성과 급변하는 정치상황을 거치면서 오늘날의 모습으로 변화·발전하였고‚ 그 이면에는 부모 선배들의 고통스런 땀과 노력이 있었다. 이러한 모습을 담은 사진전은 시대 흐름에 따라 3부로 구성되었다.  1부는 이형록의 작품으로 전쟁의 아픔이 채 가시지 않았던 1950년대의 혼란했던 상황이다. 거리에서 마주치는 일반 서민들의 삶의 모습이 사실주의를 바탕으로 한 사진들로 꾸며져 있다.  2부는 일본인 구와바라 시세이에 의해 조명되는 1960년대의 상황이다. 복개되기 전 서울 청계천 일대에 형성된 판자촌과 그곳을 터전으로 삼아 생활하던 도시 빈민들의 일상‚ 근대화의 밑거름이 된 이름 모를 희생자들의 오열‚ 귀와 눈이 막힌 시대를 살았던 민중들의 거대한 집단초상이 표현되어 있다.  3부는 김기찬의 작품으로 서울역 주변과 달동네의 골목길을 통해서 본 1970년대의 모습이다. 열악한 삶속에서도 달동네 주민들이 갖는 넉넉하고 강인한 인내심과 낙천주의가 표현된 작품들과 아파트 위주로 바뀌기 전의 서울 골목안의 생활상을 심도 있게 그려내고 있다. 이번 전시는 9월 한가위를 맞아 부모와 형제자매의 모습이 담긴 따뜻한 사진을 통해 과거의 가족모습을 회상하고‚ 그 소중함을 일깨우는 코너도 마련되어 가족의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한다. 그리고 지금은 사라져간 우리의 자화상을 살펴보고‚ 지난 세월을 살았던 우리 서민들이 주인공이라는 점에서 다른 어떤 전시보다 친근감과 향수를 느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사진을 역사자료로서 인식하고 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인류학적 의의도 큰 것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가까운 옛날; 20세기의 민중생활”이라는 주제로 박현수교수(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의 특별강연이 개막식 당일인 9월 10일 오후 1시 30분에 있을 예정이다. ☞ 문의처 : 국립대구박물관 학예연구실【☎053)768-6052 담당자: 장용준(학예연구사)】 ☞ 관련사진자료 : 국립대구박물관 홈페이지 참고 소년少年 달동네 아줌마 닭장수 아이들 월남파병용사의 어머니 빨래터 - 이 자료에 대한 저작권은 국립중앙박물관과 사진작가에 있으므로‚ 본 특별전과 관련된 보도자료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그림을 누르시면 큰 이미지로 보실 수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창작한 저작권 보호분야 [대구] ‘가까운 옛날-사진으로 기록한 민중생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1유형) 첨부파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