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올챙이묵틀

추천0 조회수 9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올챙이묵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옥수수를 갈아 만드는 강원도의 전통 국수를 뽑는 틀이다. <발달과정/역사> 풋옥수수를 맷돌에 갈아 체에 거른다. 이 옥수수 전분을 되게 쑤어 1㎝ 가량 구멍이 뚫린 바가지에 부으면 올챙이 모양의 묵이 똑똑 떨어진다. 바가지 밑에 미리 찬물을 담은 넓은 그릇을 준비해 두어 그곳으로 묵이 떨어지게 한다. 플라스틱 바가지보다는 박바가지를 사용해야 모양이 잘 나온다. 묵틀을 통해 만들어진 모양이 올챙이와 같다고 하여 올챙이묵이라고 부르는데 양념장이나 물김치에 말아먹는다. 시원하고 맛이 구수해서 여름철 강원도 향토음식의 하나이다. 이때 사용하는 틀을 올챙이묵틀이라 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두개의 기다란 막대위에 지름 20㎝의 원통이 끼워진 구조이다. 받침역할을 하는 두개의 막대 앞쪽과 뒤쪽에 지름 1.5㎝의 구멍이 하나씩 있는데 고정 시키는데 이용되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원통은 두께가 2.5㎝ 가량이고 바닥에는 지름 0.5㎝ 가량의 구멍이 여러 개 뚫려있는 두께 3㎝ 가량의 판을 끼워 넣었다. 옥수수죽을 원통에 부으면 이 구멍을 통해 올챙이모양으로 뚝뚝 떨어지게 된다. <참고문헌> 국립민속발물관‚《산촌》‚ 2003. 금오민속박물관‚《옛 사람들의 살림살이와 세간》‚ 200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