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분청자인화문합

추천0 조회수 1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분청자인화문합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분청자에 일정한 문양도장을 가지고 압인(押印)하는 기법으로 장식한 운두가 그리 높지 않고 둥글넓적하며 위에는 뚜껑이 있는 그릇. <발달과정/역사> 합(盒)은 크기에 따라 큰 합·중합·작은 합·알합 따위로 불리며‚ 돌잡이용일 경우 돌합이라 부른다. 합으로는 또 주발 정도의 크기로 반상기 일습을 만들기도 하는데 이것을 합반상기라 한다. 합에는 국수장국·떡국·밥·약식·찜 등 따끈하게 먹는 음식을 주로 담았다. 조선 중엽에는 이 합이 양반가를 비롯하여 일반서민에 이르기까지 실생활 용구로 널리 쓰였다. 인화기법의 연원은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질그릇에서부터 볼 수 있고‚ 통일신라시대의 인문도기(印紋陶器)에서는 상당히 세련된 문양을 보이는 골호의 예가 많이 남아 있다. 고려의 상감청자에서도 기면(器面)의 중심문양은 아니지만 부속문양으로서 도장을 찍은 뒤 흑백상감을 한 예(例)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인화기법이 중심문양으로서 그 본격적인 아름다움을 발휘한 때는 15세기 분청자에서 이다. 고려청자의 상감기법에 속하나 도장을 찍은 뒤 주로 백토(白土)를 감입(嵌入 : 박아 넣음)하므로 별도로 구별하여 분청자인화기법이라고 한다. 분청자의 인화기법은 시기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난다. 14세기 말에는 대접 내면에 간략하게 한 줄의 국화 (菊花)·화(花)·육각판(六角瓣)·삼원(三圓)·육원(六圓) 등이 압인되고‚ 15세기 전반에서 중엽경은 여러 개의 화문(花紋)이 한 줄로 집단화되어 이른바 집단연권문(集團連圈紋)으로 발전하여‚ 기면 전체를 빈틈없이 꽉 메운 인화기법의 절정기이다. 15세기 후반부터는 문양의 짜임새가 해이해져 퇴조현상을 나타내다가 16세기에는 거의 사라진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유개합(有蓋盒)이다. 합신(盒身)의 외면 상하에 백상감선대(白象嵌線帶)를 돌리고 그 사이에 승렴문(繩簾紋)을 촘촘히 시문하였다. 오목한 형태의 뚜껑 중앙에는 3개의 국화문을 시문하고 백상감선을 돌리고 그 외곽으로 국화문을 빙 둘러 시문하였다. 그 바깥쪽으로는 백상감선을 이용해 공간을 구획하고 그 사이를 승렴문으로 빼곡히 채웠다. 또 그 바깥쪽으로 여러 줄의 백상감선을 돌렸다. 담청색의 분청유약이 내외면에 시유되었고 좁은 접지면(接地面)을 지닌 굽은 밑바닥의 유약을 훑어내었는데 4개의 내화토 받침 자국이 남아있다. 합신의 절반가량을 수리·복원하였다. 뚜껑의 한쪽에 유약이 뭉쳐 흘렀다. <참고문헌> 강인희‚《한국식생활사》‚ 삼영사‚ 1995. 강경숙‚《분청사기연구》‚ 일지사‚ 1986. 호암미술관‚《분청사기 명품전》Ⅱ‚ 2001. 한국고고미술연구소‚《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1984.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