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지공화상비편

추천0 조회수 1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지공화상비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지공화상비편은 경기도 양주 회암사지에서 수습된 것으로 이 비편은 1378년(고려 우왕 4) 회암사에 건립되었으나 1821년(순조 21) 파괴되어 없어진 지공화상의 부도비편으로 추정되는 것이다. 지공화상(指空和尙)은 고려 말기의 승려로 범명(梵名)은 제납박타(提納薄陀)‚ 호는 지공(指空)이다. 그는 본래 인도의 승려로 마갈타국(摩竭陀國) 왕 만(滿)의 세 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19세에 남인도 보명(普明) 밑에서 정진하여 의발(衣鉢)을 전해 받고‚ 그 뒤 중국에 귀화하였다. 1328년(충숙왕 15) 고려에 와서 법화(法化)를 펴고 왕사(?師)가 되었다. 그 뒤 다시 중국으로 가 법원사(法源寺)에 머무르면서 고려의 혜근(慧勤)에게 선종(禪宗)을 전수하였고 1363년(공민왕 12) 귀화방장(貴化方丈)에서 입적하였다. 지공화상(指空和尙)은 1328년부터 약 2년 7개월간 고려에 머물면서 고려의 여러 곳을 다녔다. 그는 회암사 중창의 계기를 마련하였고‚ 그의 제자인 나옹화상은 고려 왕실의 후원 하에 회암사를 중창하였다. 이 비편은 행서(行書)로 비문이 쓰여 있고‚ 비문에 의하면 지공화상은 머리를 땋고 흰 수염을 기르고 신비한 기운이 검은 구슬처럼 빛났으며‚ 옷이 호화로웠고 평상시 모습이 엄숙하여 누구나 경외심을 일으켰다고 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