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보상화문전

추천0 조회수 3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보상화문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전(塼)은 점토를 틀에 대고 찍은 다음 건조시키거나 구운 벽돌이다. 주로 건축물이나 무덤 바닥에 깔기 위한 것으로 까는 위치에 맞도록 여러 가지 형태로 만들며‚ 표면과 측면을 문양으로 장식한다. 형태는 방형‚ 장방형‚ 삼각형‚ 사다리형‚ 마름모형‚ 상자형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하다. 문양은 매우 다양한 문양이 사용되는데‚ 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문양은 연화문과 보상화문이다. 여러 가지 문양과 함께 쓸 때에도 연화문이나 보상화문은 언제나 주문양으로서 중심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고대 동양미술에서 연화문 다음으로 널리 이용된 보상화문은 반쪽의 팔메트 잎을 좌우에 대칭시켜 심엽형으로 나타낸 장식무늬의 하나로서‚ 보상화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꽃이다. 일반적으로 보상화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8엽의 꽃을 평면으로 취급하여 연화문을 복잡화시킨 것이고‚ 다른 하나는 꽃을 사횡으로 다루어 잎과 줄기를 자유스러운 형태로 배치한 것이다. 보상화문은 이미 7세기를 전후하여 사산조 페르시아의 타키부스탄 입구의 측면 부조에서 그 양식이 성립되었고‚ 또 당대(唐代)에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신라와 당과의 빈번한 문물교류로 인하여 당에서 형성된 보상화문 양식이 전래되어 8세기 중엽 경에는 가장 화려하게 발전된다. 좌우대칭으로 완성된 팔메트의 꽃잎이 연속되면서 4엽에서‚ 6엽‚ 8엽‚ 10엽 등을 이룬 연화문 형태의 문양이 만들어지는데‚ 이는 그리스계 아칸더스(acanthus)에서 발전된 화문형식이다. 이밖에도 서역에서 발생한 망고화 형식과 중국에서 이루어진 모란화 형식이 있따. 보상화문수막새는 전통적인 기와문양을 크게 변혁시키면서 통일신라 전시기에 걸쳐 매우 다양하게 장식되고 있다. 이 보상화문전은 일부 결실되었다. 높은 온도에서 소성된 경질이며‚ 바탕흙은 흑회색이고 모래알갱이가 많이 섞여 있다. 보상화문은 전(塼)의 측면에만 표현되어 있는데‚ 그 문양은 전체문양의 반절만 표현되어 있어 다른 전과 함께 짝을 이루어 사용되었다고 생각한다. 표면은 기와 칼로 다듬은 흔적인 와도흔이 있으며 물 손질 되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