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위패함 (독좌와 독개)

추천0 조회수 5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위패함 (독좌와 독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죽은 사람의 이름과 죽은 날짜를 적은 나무패를 보관하는 함(函). <유래 및 발달과정> 위패는 종이로 만드는 신주인 지방(紙榜)과 달리 나무로 만드는데‚ 중국 주(周)나라의 예를 따라 주로 단단한 밤나무로 만든다. 위패는 주신(主身)과 받침대[?(랑)]의 두 부분으로 되어 있다. 상례 때 위패는 치장(治葬)의 단계에서 만들어져 검은 옻칠을 한 감실(龕室)에 안치‚ 빈소나 사당에 정중하게 모셔진다. 위패는 시연의식에서 영단의 중앙에 놓이며 좌우에 각각 향로와 다기 및 촛대를 한 쌍씩 세운다. 사대 봉사의 집안에서는 위패가 100여 년간 모셔지지만 사당이 없거나 집 안에 위패를 안치할 별도의 벽감(壁龕)이 없는 집에서는 종이로 만든 지방으로 위패를 대신하거나‚ 조상단지 옆에 조상당세기라는 바구니를 안방 선반 위에 고비합사(考驢合祀)로 4개 또는 8개를 놓기도 한다. 6. 25전쟁 이후 사당이 줄어들면서 오늘날에는 전통적인 모양의 위패는 많이 보이지 않는 편이다.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단순히 패의 아래쪽에 연화대(蓮華臺)만을 붙이는 것도 있고‚ 그 위에 구름‚ 용‚ 연화 등의 문양을 조각하여 비석이나 탑의 옥개석처럼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또한 위패의 양쪽에 작은 문을 설치하는 것도 있고 당초문을 장식하기도 한다. 기원은 자세하지 않으나‚ 유가(儒家)의 위판‚ 목주‚ 신주 등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위패를 모시는 함으로 받침〔?座 (독좌)〕과 덮개〔?蓋 (독개)〕이다. 받침은 위패가 충분히 들어갈 넓이의 판(板) 위에 위패 높이만큼 뒤와 양옆을 판자로 둘러치고 앞과 위는 틔운다. 바닥의 네 모서리에는 삼각형의 귀를 달아 다리를 만들다. 안쪽은 붉은 칠을 하고 바깥쪽은 흑칠을 한다. 덮개는 위패함 받침을 위에서 아래로 씌우는 것으로 아래만 틔우고 전후좌우와 위를 막아 만드는데 안쪽은 칠하지 않고 바깥쪽은 흑칠을 한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