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자수베겟닛장식품

추천0 조회수 10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자수베겟닛장식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베게란 잠을 자거나 휴식을 위하여 누울 때 머리에 괴는 물건을 말한다. 우리 나라의 전형적인 베개는 헝겊으로 길게 만들어 속에 왕겨·메밀껍질 등을 넣고 봉한 다음‚ 흰색의 무명으로 호청을 만들어 겉을 싼 것이다. 양쪽의 모는 둥글게 하든가 각지게 하여 십장생문양이나 길상문을 수놓았다. 또‚ 오색을 맞춘 비단에 솜을 두어 누빈 것‚ 잣모양으로 천조각을 접어서 수백개씩 돌려서 만든 것 등도 있었다. 높이는 각자의 습관에 따라 다르나 보통 10∼13㎝‚ 길이는 35∼40㎝ 정도이다. 특수한 것으로는 갓난아기의 베개‚ 신혼부부의 베개‚ 노인이나 환자를 위한 베개가 있다. 갓난아기의 것은 무게를 유지하여 밀려나지 않도록 조를 넣어 만든다. 신혼부부의 베개는 9봉침(九鳳枕)이라고 하는데‚ 신랑·신부가 같이 벨 수 있도록 약 50㎝의 길이로 길게 만든다. 베갯모에는 7마리의 새끼를 거느린 봉황 한쌍을 마주보게 수놓고‚ 둘레에는 십장생문양과 완자문양을 수놓는다. 노인이나 환자를 위한 베개는 불로침(不老枕)이라고 하는데‚ 베개통의 사방과 양쪽 모의 중앙에 각각 직경 5.5㎝의 구멍을 뚫고 12쪽으로 연결하여‚ 6개의 구멍과 맞을 수 있는 연통을 만들어 속에 넣어 뚫어진 곳과 각각 바느질한다. 그리고 탄탄하게 속을 넣으므로 베개 속은 사방 6개로 된 통로가 새어‚ 장시간 베고 있어도 머리에 부담이 적고 상쾌한 느낌이 든다. 이 밖에 나무를 깎아서 만든 목침도 있으며‚ 판자를 맞추어 만든 퇴침도 있었다. 퇴침 속에는 작은 차돌을 넣어 들을 때에는 딸가닥 소리가 나게 만들기도 하였다. 요즈음에는 속에 스펀지나 닭털을 넣고‚ 옆에 모를 붙이지 않고 넓적한 모양으로 만든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