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수저집

추천0 조회수 2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수저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넣어서 보관하는 주머니 <유래 및 발달 과정>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숟가락은 청동기 시대의 유적인 나진초도패총에서 출토된 골제품(骨製品)이다. 젓가락은 공주무녕왕릉에서 출토되었는데‚ 숟가락에 비해 늦게 발달한 것으로 추측된다. 우리나라에서 수저를 병용한 것은 삼국시대였다. 수저 병용의 관습은 우리 일상식의 내용이 국물음식과 국물이 없는 음식을 항상 병용하게끔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어린이의 첫돌날 아기의 개인용 수저를 준비하여 주는 풍습이 있다. 성장하면 연령에 맞추어 큰 것으로 바꾸어주고 혼인할 때 신부가 신랑‚ 신부 두 사람의 수저를 밥그릇‚ 대접과 함께 준비하여 거의 평생을 쓴다. 따라서 각기 개인용 수저가 있으며 접객용 수저는 따로 준비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수저집은 다홍색의 양단이나 공단‚ 모본단으로 만드는데‚ 옥양목으로 백비를 하거나 백지로 심을 넣고 안을 대어 만든다. 겉에는 십장생문‚ 연꽃‚ 모란꽃‚ 작은 새 등의 무늬‚ 수(壽)‚ 복(福)‚ 부귀다남자(富貴太男子) 등의 길상문을 수놓는다. 대부분의 경우가 신부가 시집갈 때 혼수용으로 마련해 가는 것이었다. 본 박물관의 수저집 역시 홍색비단 바탕에 앞면에는 소나무‚ 두루미‚ 불로초‚ 구름 등을 수놓았고 중심부에는 매듭에 술을 달았다. 뒷면에는 두줄로 불가일무(不可一無)‚ 모조주응(暮朝酬應)이라고 자수하였다. <참고문헌> 『澹人服飾美術館』(이화여자대학교 담인복식미술관‚ 1999) 『劉康烈 敎授 寄贈文化財』(국립중앙박물관‚ 200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수저집(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