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에스토니아 2 KROON 1992년

추천0 조회수 83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에스토니아 2 KROON 1992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에스토니아의 2 KROON 화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앞면에는 독일계 러시아의 동물학자인 (K. E. von Bear‚ 1792-1876년)의 초상이 뒷면에는 건축물이 도안의 소재로 사용되었다. 주 기조색은 푸른색이다. <세부사항> 에스토니아: 2003년을 기준으로 1인당 총 생산이 3‚870\$인 에스토니아의 총 면적은 4만 3431㎢로‚ 인구는 135만 3000명이고‚ 인구밀도는 31.2명/㎢이다. 정식명칭은 에스토니아 공화국(Republic of Estonia)로‚ 발트 3국 중 하나이며‚ 수도 탈린은 최북단의 핀란드 만 연안에 공업 지대를 이루고 있는 항구 도시이다. 18세기 이후 러시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1918년에 독립하였다. 공용어로는 에스토니아어를 사용하고 있다. 동쪽은 러시아 연방‚ 남쪽은 라트비아와 접경하며‚ 북쪽은 핀란드만(灣)‚ 서쪽은 발트해(涇)에 면한다. 독일계 러시아의 동물학자 베어(K. E. von Bear‚ 1792-1876년)는 1819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 교수가 되었으며‚ 1834년에 페테르부르크 아카데미의 초청을 받아 러시아로 이주했고‚ 북러시아와 우랄 해 등을 여행했으며‚ 인류학‚ 인종학‚ 고고학‚ 언어학‚ 기타 여러 학문을 연구한 사람이었다. 1827년에는 포유류의 알에 대한 의견을 서술한 《포유류와 인간의 알의 기원에 대하여》(De ovi mammalium et hominis genesi)를 발표했으며‚ 유성생식을 하는 동물은 모두 알로부터 태어난다고 주장했다. 그 후 그는 《동물의 발생사에 대해서》(Uber Entwicklungsgeschichte der Tiere‚ 2권‚ 1828년‚ 1837년)라는 발생학 교과서를 출판했고‚ 발생학-또는 비교 발생학-의 창시자로 간주될 정도로 업적을 올렸다. 그 중에 알이 발육할 때‚ 일정한 기관은 일정한 층에서 발육한다는 것을 인정하여 이러한 층을 배엽(ascidium)이라고 이름을 붙였고‚ 이를 배엽설로 확립시켰다. 이 설에 주목할 만한 것은 척추동물 초기의 배는 아주 짧은 시간이지만 척색(脊索‚ chorda dorsalis)를 갖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는 배엽의 연구를 통해‚ 생명의 진화를 믿고 있는 생물학자들에게 용기를 주었으며‚ 찰스 다윈도 자신의 진화론을 뒷받침하는 데 이용했지만‚ 만년의 베어는 다윈설을 강하게 반대했다. <참고문헌> 야후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