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돈궤

추천0 조회수 3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돈궤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물건을 넣기 두는 장방형의 상자. <역사> ≪삼국유사≫에 탈해왕이 길이 20척‚ 너비 13척의 궤에서 나왔고‚ 경주김씨의 시조인 김알지(金閼智)도 금궤에서 나왔다는 기록으로 보아 궤는 오래 전부터 사용된 가구임을 알 수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큰 것은 궤‚ 작은 것은 갑(匣)‚ 아주 작은 것은 독(窺)이라 한다. 또‚ 세부구조의 특징에 따라 궤나 함(函)으로 나누기도 한다. 형태는 윗면 또는 앞면의 반을 외짝문으로 만들어 여닫도록 하고 빗장과 자물쇠를 달았으며‚ 재료는 주로 결이 곱고 단단한 나무를 썼는데 황유목(黃楡木 : 느릅나무)을 가장 상품으로 여겼다. 용도는 책·활자·문서·돈·옷감·의복·제기·화자기(怜磁器)·놋그릇·곡물 등을 보관하는 데 사용하였고‚ 특수한 용도로서 종묘(宗廟)에서는 신주를 보관하는 데 이용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궤의 용도가 다양하므로‚ 사용계층도 궁중을 비롯한 관청으로부터 일반 서민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었다. 궤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며‚ 각 지방에 따라 독특한 발전을 보였다. 대표적인 궤로는 각종 물품을 보관하는 반닫이‚ 엽전을 보관하는 돈궤‚ 곡물을 담아두는 뒤주가 있다. 큰 궤는 대부분 두께 2㎝ 이상의 통판을 사괘맞춤으로 짰으며‚ 작은 궤는 연귀짜임(귀 끝을 모지게 엇벤 짜임)이나 맞짜임·장부짜임(한쪽을 가늘게 만들어 다른 재목 구멍에 넣는 짜임)으로 짜서 앞면과 측면의 짜 맞춘 부위에 감잡이(양쪽으로 걸쳐 박는 쇳조각)를 대어 견고하게 하였다. 외짝문에는 경첩을 달아 여닫거나 두 개의 긴 뻗침 막대를 대어 문을 들어낼 수 있도록 하며‚ 빗장을 잠그면 열 수 없도록 만들었다. 좌우 양측의 들쇠나 자물통 등은 무쇠를 주로 사용하였다. 이 유물은 윗다지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궤이다. 윗면에 약과형 경첩을 부착하였고‚ 거멍쇠로 약과형 앞바탕에 천판에서 꺾인 낙목에 자물쇠가 채워져 있다. 몸판 전후(前後)와 좌우는 사개물림하고 전체적으로 연봉형 거멀감잡이를 대었으며‚ 양측 바닥에는 막대를 대어 발을 삼았다. 좌우 측면에는 국화형 들쇠받침에 활형들쇠가 달려있다. 궤의 앞바탕에는 원형투각장식이 있으며 전체적으로 나뭇결을 잘 살려 은은한 멋을 주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신문화연구원) 한국의 목가구(2002년‚ 서울역사박물관) 운현궁 생활유물(2003년‚ 서울역사박물관) 옛가구의 아름다움(1996년‚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유사용어> 궤‚ 와궤‚ 엽전궤‚ 윗닫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