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완(白磁碗)

추천0 조회수 1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완(白磁碗)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아래는 좁고 위는 넓게 만들어 음식을 담는데 쓰이는 그릇. <개설 및 종류> 백자는 백토(白土)를 가지고 형태를 만들 후 무색 투명의 유약을 입혀 1‚300도-1‚350도 정도에서 환원염으로 구워낸 자기이다. 백자는 무늬를 표현하는 수법‚ 물감(안료)의 종류에 따라 순백자(純白瓷)‚ 청화백자‚ 철회백자(鐵繪白瓷)‚ 진사백자(辰砂白瓷)로 구분된다. <역사> 우리 나라는 신라 말경부터 청자와 함께 백자도 제조하였다. 이때의 백자는 초기단계라 일정하지 않으나 기벽이 얇은 편이며 유약도 얇게 입힌 편이고‚ 유빙렬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고‚ 발색은 베이지색을 약간 머금은 것과 푸름을 머금은 것이 있으며‚ 그릇 표면은 매끈하게 잘 정리되었다. 조선조에 들어와서는 백자의 생산과 관리에 힘을 기울였으며‚ 전국민의 백자에 대한 선호가 대단하여 독특한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초기에 우수한 백자를 생산한 조선조에서 말기까지 우수한 백자에 대한 호상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 조선왕조실록과 기타 역사서에 수많이 기록되어 있다. 조선조 백자는 처음 경기도 광주와 관악산‚ 북한산 등을 중심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여 점차 지방으로 확산되었으며 광주는 중앙관요로서 조선 백자가마의 핵심이었다. 조선의 백자는 후기로 내려올수록 다종다양한 기형과 문양이 창출되었으나‚ 실용과 기능에 벗어난 예는 없었다. <형태> 운두가 나직하고 아래보다 위가 약간 벌어져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