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구경 7.92mm M88 한만식(漢卍式) 소총

추천0 조회수 2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구경 7.92mm M88 한만식(漢卍式) 소총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조선시대 여지도의 일부인 관동도(關東圖) <발달과정/역사> 여지도는 우리나라의 각 군현(郡縣)을 그린 지도로 편찬 연대와 제작자는 알 수 없으며‚ 채색필사본이다. 여지도에는 세계전도를 나타낸 천하도(?下圖)‚ 북쪽 국경주변의 현세도(琅勢圖)인 요계관방지도(遼界關防地圖)‚ 우리나라를 개괄한 조선전도(朝鮮全圖)‚ 청나라의 성경(盛京) 부근의 여지도‚ 우리나라의 도성도(都城圖)를 비롯한 경기도도(京畿道圖)‚ 충청남북도 중심의 호서도(湖西圖)‚ 전라남북도 중심의 호남도(湖南圖)‚ 경상남북도 중심의 영남도(嶺南圖)‚ 황해도 중심의 황해서도(黃涇西圖)‚ 평안남북도 중심의 관서도(關西圖)‚ 함경남북도 중심의 관북도(關北圖)‚ 강원도 중심의 관동도 (關東圖) 등의 지방별 지도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요계관방지도를 보면‚ 압록강과 두만강 이북의 청나라의 지세/도로 등이 자세하게 그려져 있고‚ 또한 청나라의 중심지인 성경을 중심으로 한 상세한 지도가 첨부되어 있다. 조선 각도(各道) 지도는 부(府) 군(郡) 현(縣)별로 따로 그려져 있으며‚ 산(山) 하천수계(河川水系) 객사(客舍) 망루(望樓) 서원 산성 등이 조감도로 그려져 있다. 전체적으로는 면마다 채색지도가 있는데‚ 그 뒷면에는 민호(民戶) 관곡(官穀) 전답 회부미(會付米) 성곽 거리 산성 창고 등이 상세하게 기입되어 있고‚ 또한 각 면의 이수(里數)도 표시되어 있다. * 망루(望樓) : 방어 감시 조망(眺望)을 위하여 잘 보이도록 높은 장소에 또는 건물을 높게 하고 사방에 벽을 설치하지 않은 건물 * 객사(客舍) : 고려‚ 조선 시대에 각 고을에 둔 관사(館舍). 객관(客館)이라고도 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