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쌍학흉배

추천0 조회수 7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쌍학흉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학 두 마리가 수 놓인 흉배. 흉배는 조선시대에만 있던 것으로 문무백관(文武百官)들의 상복(常服)인 단령포(團領袍)의 가슴과 등에 부착시켜 품계에 나타내던 장식으로‚ 품계에 따라 문양을 달리하였다. 쌍학흉배(雙鶴胸背)는 당상관(堂上官)인 정 1·2품의 문관(文官) 상복‚ 왕의 종친(宗親)‚ 부마(駙馬) 등의 관복에 부착한 것으로 주된 도안이 학 두 마리여서 쌍학흉배라 한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상복(常服)의 대(帶)로 상하를 구별하였으나 잘 구별되지 않는다고 하여 단종 2년 6월 흉배 제정에 관한 논의가 제기되어 그 해 12월에 제정되었다. 《조선왕조실록 朝鮮?朝實錄》을 보면 1품(一品)문관은 공작(孔雀)‚ 무관은 호표(虎豹)‚ 2품(二品)은 운안(雲雁)과 호표‚ 3품(三品)은 백한과 웅비‚ 대군(?君)은 기린(麒麟)‚ 대사헌(?司憲)은 해치(해태)‚ 도통사(都統使)는 사자‚ 왕자와 군은 백택(白澤 : 사람의 말을 한다는 상상의 짐승)이었다. 연산군 11년에는 일품에서 이품까지 흉배를 착용하게 하였고‚ 영조 10년에는 당상문관은 운학(雲鶴)흉배‚ 당하문관은 백한흉배를 사용하게 하였다. 고종 8년(1871)에는 문관 당상관은 쌍학‚ 당하관은 단학‚ 무관 당상관은 쌍호‚ 당하관은 단호로 하였다. 흉배는 조선왕조가 막을 내릴 때까지 제도화되어 시행되었다. 흉배는 네모진 형태로 백관의 상복인 단령포에 부착하였다. 옷감과 같은 색의 비단에 다양한 문양을 수놓았는데‚ 구름·여의주·파도·바위·물결·불로초·물방울·꽃·모란·완자·당초·칠보·해·달·물고기·불수(佛手)·무소뿔·산·지초(芝草)·장생문(長生紋) 등을 수놓았다. 유물에서 보면 조선 전기의 흉배는 크기가 크고‚ 문양의 수가 적은데 비해 후기로 내려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고‚ 문양도 복잡해진다. 흉배 중에 왕족이 사용하는 것은 보(補)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조선시대 왕‚ 왕세자‚ 왕세손‚ 왕비‚ 왕세자빈의 상징이었다. 주로 곤룡포와 적의·원삼·당의에 붙였다. 보(補)는 둥근 형태로 가슴과 등‚ 양어깨 네 곳에 붙였고‚ 옷과 같은 색깔‚ 같은 옷감으로 만들었다. 흉배는 조선시대 계급 표시의 하나였다. 이러한 제도는 상하의 차등을 밝히려는 목적에서 만들어졌고‚ 계급의 서열에 따른 문양이 정해져 엄격히 지켜졌다. 이렇게 흉배는 권력 집단의 위계를 가르는 표징물일 뿐 아니라‚ 독립된 자수 작품으로서도 심미적 관점에서 살펴볼 만한 대상이다. <참고문헌> 한국복식문화사(유희경·김문자‚ 교학사‚ 1998) 우리규방문화(허동화‚ 현암사‚ 1997) 조선시대 우리옷(권오창‚ 현암사‚ 1998) 서울민속대관(서울특별시‚ 1995) 0쪽) 단호흉배(조선시대 우리옷‚ 권오창‚ 현암사‚ 1998‚ 172쪽) 백관 상복의 흉배(서울민속대관‚ 서울특별시‚ 1995‚ 52쪽) 해치흉배·웅비흉배(한국복식2천년‚ 국립민속박물관‚ 1995‚ 159쪽) 단학흉배(우리규방문화‚ 허동화‚ 현암사‚ 1997‚ 126쪽) <기타참고> 조선시대 흉배제의 변천도표-한국복식사(안명숙·김용서‚ 예학사‚ 1998‚ 93쪽) <유사·관련 용어> 흉배‚ 쌍학흉배‚ 단호흉배‚ 쌍호흉배‚ 보(補) 우리옷나라(석주선‚ 현암사‚ 1998) 한국의 복식문화(백영자·최해율‚ 경춘사‚ 2000) 한국복식문화사전(김영숙‚ 미술문화‚ 1998) <사진자료> 거북흉배(조선시대 우리옷‚ 권오창‚ 현암사‚ 1998‚ 28쪽) 공작흉배·기린흉배(조선시대 우리옷‚ 권오창‚ 현암사‚ 1998‚ 168쪽) 운안흉배(조선시대 우리옷‚ 현암사‚ 1998‚ 17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