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간찰

추천0 조회수 2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간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간찰> 흔히 편지라고 부르는 서장‚ 간찰은 인간사의 모든내용이 담긴 문서이다. 간단한 안부편지로부터 학문의 토론에 이르기까지 그 내용은 다양한 것이며‚ 바로 그 시대의 인간사의 생생한 자료이기도 하다. 따라서 간찰은 그 시대의 문학적‚ 사료적 학문적인 자료가 될 수 있는 것이 많이 있다. 아래의 경우처럼 중요한 간찰은 보물로 지정된 것도 있다. 간찰(簡札) 조선 선조(宣祖:재위 1567∼1608) 때의 고문서. 지정번호 : 보물 제1334-3호 지정연도 : 2002년 1월 2일 소장 : 우국일 소재지 : 경기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 꿈마을아파트 803-1001 시대 : 조선시대 크기 : 1점 분류 : 고문서류 2002년 1월 2일 보물 제1334-3호로 지정되었다. 경기도 안양시의 우국일이 소유하고 관리한다. 보물 제1334호인 화원 우배선 의병진 군공책(花園禹拜善義兵陳軍功冊) 및 관련자료의 부속문화재이다. 조선 중기의 문신·의병장인 우배선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전공(戰功)을 세웠다. 그의 의병활동과 의병진이 이룬 군공(軍功)으로 임진왜란 때 대구와 성주(星州) 지방을 대표하는 제일의 의병장으로 평가된다. 이 문서는 조선 선조 때 정인홍(鄭仁弘:1535∼1623)이 보낸 간찰이다. 우배선이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펼치면서 남긴 군공책‚ 교지(敎旨) 등과 관련된 고문서로 임진왜란사(壬辰倭亂史)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원문내용> -연원록을 가만히 발간하여 시장에 판것이 잘못되었다는 공고문 -우암선생이 돌아가신지 300년이 지났는데 문인록이 없다. 강제선생의 엄한 조치로 여태까지 문인록이 없다. 그런데 김성근이 가만히 만들어 대구시장에 다니면서 판것은 도리에 어긋난다. 우리 문생들이 일대 괴변이다. 문인록은 3권으로 1편은 사무록‚ 2편은 문인록‚ 3편은 배사록인데 합하여 연원록이라 했다. 그런데 우암선생의 연원록이라 하지 않았으니 이렇게 스승을 배반하고 연원을 얻을 수 있겠느냐. 개탄스럽다. 누가 참을 수 있겠느냐. 그냥 보고 참을 수 없어서 여러 군자들에게 통보하오니 바로 잡아 주십시오. <해석 : 김규영‚ 최병선‚ 신창선>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