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해치

추천0 조회수 6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해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해치 - 상상 속의 짐승이기에 그 뿌리에 대한 이설이 많으나 고대중국의 태평왕국인 요(堯)나라 때 법을 다스렸던 고도( 陶)가 조정에서 기르던 외뿔(一角) 짐승으로 바르고 그르고 선하고 악하고를 그 뿔을 갖다 대어 즉각 판정하기에 해치 앞에서 속일 수가 없었다. 공평무사한 명판관으로 역사에서 우러름 받아온 고도를 이 해치에 결부시킨 것일 게다. 고대 퉁구스 부족은 죄인을 호랑이 앞에 던져주고 잡아먹지 않으면 무죄로 알았고 아프리카 나일강 상류에서는 범죄 용의자를 추장이 기르는 늙은 악어에게 노출시켜 달려들면 유죄로 쳤듯이 도덕적 신통력을 지닌 해치도 이 같은 원시적인 신판(神判)의 유교적 표출일 것이다. 해치 말고 요나라 조당(朝堂)에는 해치의 식물판이랄 굴질이라는 풀도 자라고 있었다. 간사하고 아첨하며 흑심을 품은 자가 궁중에 들어오면 이 풀이 전후좌우로 흔들린다 하여 지영초라 불렸다. 「후삼국연의(後三國演義)」에 보면 여주인공 석주(石?)가 타고 다니던 괴수가 해치였다. 곰도 범도 아닌 것이 외뿔이 돋고 입은 봉황새 같다 하고 마음에 사심을 품거나 악하고 바르지 않음을 투시하여 대들고 안하고 한다 했다. 초(楚)나라 때부터 사법 행정의 이상적 상징으로 궁문이나 관문 앞에 세워두고 진미(塵尾)라 하여 드나드는 관원들에게 이 해치의 꼬리를 쓰다듬게 하여 마음 속의 먼지를 터는 것이 관행이었다. 광화문전의 해치 꼬리가 다른 부위보다 때가 더 타 있는 것은 그 진미 때문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