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용왕도

추천0 조회수 2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용왕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무속에서 섬기고 있는 신들을 그린 그림. <세부 설명> 무신도의 역사적 증거는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노무편(老巫篇)에서 찾을 수 있다. "벽에는 울긋불긋 신상을 그려놓고‚ 칠원과 구요는 액자에 그려 붙였다."라는 구절은 원색으로 그려진 무신도의 모습을 짐작하게 한다. 또한 조선 후기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를 보면‚ 목멱산 잠두봉 국사당(木覓山 簪頭峯 國師堂)에는 고려 공민왕‚ 본조 무학(無學)‚ 나옹(懶翁)‚ 두신(痘神)‚ 지공상(指空像) 등의 신상이 걸려 있다고 했는데‚ 무신상의 흔적이 뚜렷하다. 무신도의 제작방법은 발이 고운 무명바닥에 신상을 그린다. 사용되는 천은 당목이 주로 쓰이고‚ 이따금 한지를 쓰기도 한다. 무신도의 크기는 일저하여 가로 60Cm‚ 세로 110Cm 정도가 보통이고‚ 이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도 있다. 채색은 적‚ 홍‚ 청색의 원색이 기본이고‚ 여기에 백‚ 흑‚ 녹색이 첨가된다. 무신도의 제작자는 사찰에서 탱화를 그리는 금어(金魚)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무당의 증언‚ 금어의 증언을 통해 확인된다. 그래서 무신도와 탱화는 여러모로 유사한 면모를 지니나 서로 다른 특징은 무신도는 무속에서 신앙되는 초상인 점에 반하여 탱화는 불교와 관련된 내용을 그리는 것이 차이가 난다. 무신도는 무가‚ 무복 등과 더불어 무속신에 대한 관념을 파악하는 데에 긴요한 자료이다. 회화사상으로 종교화라는 한계를 지녔으면서도 우리의 종교‚ 신화‚ 예술을 용해시킨 예술품이라는 점이 중요하고 불교‚ 도교‚ 무속의 문화사적인 복합을 파악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될 자료이다. <화면 설명> 합장한 용왕4구가 입상으로 우측을 향해 서 있다. 용왕들의 머리 위쪽엔 구름의 형상이 보라색계열로 채색되었고 테두리는 먹선으로 둘러져 있다. 구름의 아래쪽은 모두 물로 파도가 표현되어 있고 청색계의먹선으로 파형을 표현했다. 용왕들의 머리에는 두개의 뿔이 먹선으로 표현되었고 향좌측부터 첫번째 용왕은 붉은계의 옷에 같은 계열의 머리장식이 있고‚ 2번째 용왕은 흰색계의 옷에 푸른색계의 머리장식이‚ 3번째 용왕은 청색계옷에 적색계 머리장식이‚ 4번째 용와은 옅은 녹색계 옷에 청색계 머리장식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