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유개고배

추천0 조회수 9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유개고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신라토기는 지역적으로 경주를 중심으로 한 경상도 지방에 분포하고 있으나‚ 신라의 영토범위가 확장되면서 포괄하는 범위가 넓어졌다. 하지만 좁은 의미로 사용할 때는 신라시대 경상도 지방에서 만들어진 회색의 광택이 없는 토기를 지칭하기도 한다. 이 토기는 대부분 흑색·흑회색·회청색 등의 색조를 띠며 흡수성이 없고 표면이 단단하여 때리면 금속성이 나는데‚ 이는 밀폐된 가마에서 바탕흙[胎土] 속의 철분이 환원염(還元焰)으로 구워진 결과이다. 형태상으로는 목항아리[長頸壺]와 굽다리접시[高杯]가 기본이지만 이후 다양한 변형들이 등장한다. 신라는 4세기 후반까지는 이른바 고식도질토기의 특징을 보여주는 뚜껑굽다리접시와 뚜껑없는 굽다리접시가 공존하는데‚ 점차 전자는 소멸되고 후자가 신라식의 뚜껑없는굽다리접시로 발전하여 간다. 가야토기에는 뚜껑목긴항아리가 중요한 기종이 되고 있다. 굽다리 접시의 경우 신라토기는 그릇 뚜껑이 굽다리 모양 꼭지가 부착되고 기하학적 무늬가 새겨지는 데 비해 가야토기는 단추모양 꼭지가 달리고 애벌레무늬가 찍혀 있다. 그리고 통일신라시대는 기형과 문양에 많은 변화가 생겨 뚜껑꼭지가 보주형으로 변한다. 토기잔 중에서 가장 다양하고 가장 발달한 기형이 고배이다. 원형의 잔을 높은 굽다리가 받치고 있는 형상인데 굽의 받침이 원형이어서 안정감이 있다. 잔에 주름진 것과 손잡이가 달린 것도 있다. 고배 중에는 뚜껑이 없는 것과 뚜껑이 있는 것이 있는데‚ 뚜껑이 있는 고배는 잔이 접시처럼 낮고 넓어 음료보다는 음식을 담았으리라 추측된다. 실제로 뚜껑 고배 중에는 생선의 뼈나 계란 껍질이 들어있는 것이 있다. 장식성이 강한 신라고배는 6세기 중엽부터 제기처럼 높은 굽은 굵은 띠를 둥글게 돌려지며 굽 높이도 줄어든다. 따라서 그릇의 이름을 단각고배(短脚高杯)로 부르며 다리도 고리를 의미하는 환형대각(環形臺脚)으로 부른다. 또한 이전시기에는 자연유가 뚜껑 내면에 있지만‚ 6세기 중엽부터는 자연유가 표면에 뚜껑 표면에 있어 뚜껑을 그릇에 바로 얹어 놓고 구웠음을 알 수 있다. 본 유물은 회청색 도기로 뚜껑과 높은 굽이 있는 기종이며‚ 뚜껑에는 인화문이 시문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뚜껑의 꼭지는 환형으로 굵은 점토대를 원으로 낮게 둘러 손잡이를 이루고 있으며‚ 뚜껑의 개신은 철(凸)자의 형태로 완만한 곡선을 그리고 있다. 뚜껑의 바깥방향으로는 타원형으로 길어진 원권문이 횡 2열로 원을 안팎으로 두 개 그리며 돌아가고 있는데‚ 위쪽의 원은 원을 그리는 선이 점열로 이루어져 있고‚ 아래쪽의 열은 실선으로 되어 있다. 문양은 개신의 중간부분까지만 차지하고 있으며‚ 그 밑으로는 문양이 없다. 뚜껑의 테는 수평방향으로 튀어나와 평평한 단을 이루며 끝나고 있다. 몸통(杯身) 외측면은 곡선을 이루며 굽에 이어졌으며‚ 나팔형의 형태의 굽(脚部)은 바깥으로 퍼져 내려오다가 밑테부분에서 약간 외반하여 둥글게 테를 이루고 있다. 굽에는 굽밑테를 제외하고 굵은 돌대가 3조 형성되어 있다. 제일 위 돌대에는 4각형의 작은 투창이 3개 돌아가고 있으며‚ 3번째 굵은 돌대와 굽밑테의 사이 오목한 열에 다시 4각의 작은 투창이 돌아가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