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유제양필 서간

추천0 조회수 121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유제양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유제양(柳濟陽)의 자는 낙중(洛中)‚ 호는 이산(二山) ? 안선재(岸船齋)‚ 본관은 문화(文化)이다. 시를 만 수를 지었으며‚ 구례 토지면에 있는 그의 99간 저택은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어 현재 유지‚ 관리하고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유제양이 왕수환에게 쓴 것이다.  귀 당질(堂侄)이 이렇게 와 주셔서 고맙고 기쁜데‚ 하물며 편지까지 가지고 오니 곁에 있는 사람도 기뻐서 눈썹까지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체(氣體) 더욱 복(福)되심을 살피니 실로 앙송(仰頌)하는 바와 같습니다. 연전(硯田)에서 붓으로 보습을 삼으니 가규(賈逵)의 자경(自耕)이 어찌 옛날에만 아름다웠던 것입니까.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계씨(季氏)는 보배를 품고 원유(遠遊)하는 것 또한 옛사람들이 했던 일이기는 하지만 척령(??)의 언덕에서 서로 바라보기만 하니 어찌 그리움이 없겠습니까. 저는 늙은 회포가 더욱 심하여 꽃이 피고 질 대면 어디서나 고인(故人)의 생각을 아니할 때가 없습니다. 얼마전 마전천에서 시를 지을 때 돌아가신 소천(小川) 선생의 전날의 풍류 운치가 완전히 감긴 눈에도 시혼(詩魂)을 불러일으키게 합니다. 수석(水石) 사이에 강신(降神)하고 오랫동안 방황하다가 바위와 시내의 꽃과 나무 앞에서 만나듯 하였는데 이 마음 누가 알겠습니까. 또 광언(狂言)을 하여 우습습니다. 말씀하신 연암집(燕巖集) 일은 저희들이 이미 창강옹께서 주옥(??)을 편철(編綴)하는 마음으로 힘쓰셔서 사람들의 뜻보다 높이 솟아남을 부러워했습니다. (중략) 말씀하신 창강집은 저에게는 큰 보배로‚ 과연 말씀과 같다면 때를 놓쳐 후회가 되지 않도록 할 것이니‚ 비록 여기저?제우(諸友)에게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하‚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하‚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전싱문화연구원‚ 1992. 기서 빚을 얻더라도 반드시 사야 흔쾌(欣快)할 것 같습니다. 창강집 6책을 내일 읍(邑) 동내(東內)의 편씨가(片氏家)에 보내 주시면 반드시 돈 4원을 줄 것이므로 6책을 가지고 오는 사람에게 기다리게 함이 어떠하겠습니까. 편지는 말을 다할 수 없고‚ 말은 뜻을 다할 수 없다는 것이 이 경우에도 들어맞을 것 같습니다. 바쁜 틈을 타서 몇 자 적으니 살펴주시기 바랍니다. 편지를 쓰기 시작하여 오시(午時)에 이르렀습니다.               유제양 배사 전에 자주 가고자 하였으나 한 번도 가지 못한 것은 날씨가 고르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맑은 날을 기다려 밝은 창(窓)‚ 깨끗한 책상 옆에 나아가 심오한 이치와 청담(?談)을 들을 날이 머지 않을 것 같습니다. 매사(梅社)?지촌(芝村)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