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왕수환외필 서간

추천0 조회수 8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왕수환외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왕수환(?粹煥)은 1912년 『개성가고(開城家稿)』를 간행하였으며‚ 1908년 봄에 세워진 사립학교인 구례 호양학교(壺陽學校)의 교사로서 학생들에게 독립사상을 고취시키고 황현‚ 김택영 등과 교유하였다. 권봉수(權鳳? 1872-1940)의 자는 경소(景韶)‚ 호는 지촌(芝村)‚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매천의 제자이면서 매천집 간행 주역의 한 사람이다. 박창현(朴暢鉉 1863-1929)의 자는 춘경(春卿)‚ 호는 매사(梅史)‚ 본관은 순천(順?)으로 전남 구례 출신이다. 매천집 간행 주역의 한 사람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왕수환‚ 권봉수‚ 박창현 세 사람이 황병중에게 보낸 것이다. 지난달 보름께 하동장(河東市) 인편에 보낸 편지는 받아 보셨습니까? 가을이 이미 저물었는데 모시는 체후(體候) 만중하십니까? 구구한 생각이 평시보다 더합니다. 저는 속세의 생활이 층층이 쌓인 고기 비늘처럼 되어 스스로 탄식하나 어찌하겠습니까? 매천집 모간사(募刊事)는 생각건대 형이 이러한 일에 본래 열성이 있는데 하물며 매천의 일에 있어서이겠는가? 한갖 자기 앞만 닦을 것이 아니라 한 방면을 혼자 담당하여 그곳 사우들고 의논하여 얼마간 수합해서 9월 안으로 석현(石峴) 송하섭 형에게 부송(付送)하면 어찌 그 후의를 다 헤아리겠습니까? 일은 신속히 하여야 하는 것이니 천연하지 말고 9월 그믐 안으로 이곳에 도달하길 천만 바랍니다. 이만 줄입니다. 왕수환?박창현?권봉수 이배 <기타참조>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참고문헌> "국역 황매천 및 관련인사 문묵췌편" 상‚ 미래문화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