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송운회필행서8폭병풍

추천0 조회수 12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송운회필행서8폭병풍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작가> 중국과 조선의 서예 명인들의 서체를 익혀 독특한 설주체를 완성한 송운회(1874∼1966)는 고종 11년(1874년) 율어면 금천리에서 출생하여 한말의 혼돈기‚ 일제의 강점기와 민족의 비극 6.25를 체험 하면서도 글씨 외에 한순간도 다른 곳에 한눈을 팔지 않았으며‚ 1965년 임종때 까지도 붓으로 예도(藝道)를 실천했던 탈속웅필(脫俗雄筆)의 대가 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병풍은 매화그림에 대한 제시(題詩)를 쓴 것으로 서풍은 지창한(池昌翰‚ 1851-1921)처럼 청나라 하소기(何紹基‚ 1799-1873)의 글씨를 배운 듯하다. 若非孤山園林‚ 定是?陽門扉‚ 江上放鶴何處‚ ?下採菊歸時. 莫道柳杏風?‚ 羞侶桃李面目‚ 銷盡世間鉛華‚ 至竟墨彙點滴. 生貯万?香涇‚ 試問移栽幾年‚ 休云未放套氣‚ 枕牀隨處占便. 老根突兀??‚ 百年心腸鐵石‚ 留與世世子孫‚ 無限新枝春色. ?截蒼崖千尺‚ 倒下一枝春光‚ 太時不費撚嗅‚ 寂入鼻覲?香. 雪後園林半樹‚ 水邊籬落橫枝‚ 暗香忽覺?動‚ ?肯?風來時. ?家山中生?‚ 只管春秋寒暄‚ 月滿庭人初報‚ 酒醒?覺黃昏. ?上尋春不見‚ 芒?歸師日?‚ ??一?東風‚ 雪渙門?三尺. 氷雪翁書梅畵題. 「宋運會印」「雪舟」 <기타참조> "강운 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참고문헌> "강운 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