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젓독

추천0 조회수 6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젓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젓갈독는 어패류를 소금에 절여 장기간 저장하는 데에 쓰이는 용기이다. <개설> 삼국시대부터 만든 옹기는 세계에서 한민족만이 가지는 독특한 음식 저장 용기이다. 그 중 젓갈독은 조미료와 부식물의 저장용구 등으로 사용하였다. 음식물을 오래 저장해야 되므로 바람이 통하고 숨을 쉬게 하여 그 속의 저장물이 쉬거나 썩는 것을 막아준다. 이러한 독의 기능이 발효식품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우리나라 식품을 저장에 큰 역할을 담당하게 했다. <역사> 처음에는 곡물을 저장하고 음식을 담아 먹고 보관하는 데는 목기나 소쿠리 등을 썼지만 흙으로 그릇을 빚어 불에서 단단하게 구워 내는 방법을 알아낸 뒤 우리에게 중요한 생활용품이 되었다. 질그릇은 고려에서 조선조로 이행되면서 생활이 다양해지고 풍요롭게 됨에 따라 특수한 용도에 쓰이는 특수용기로 발전하였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토기는 다공질(太孔質)로 숨을 쉬며 아주 큰 것도 만들기가 쉽고 자기보다 가벼우므로 다루기가 쉽다. 그뿐 아니라 열에 강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였다. 토기는 치밀질 석기계통과 치밀하지 않은 연질토기(질그릇)가 병행하였다. 이 두 가지 가운데서 치밀질 계통은 일부 자기로 발전‚ 이행되었고 또 일부가 오지그릇으로 이행되어 질토기는 질그릇이 되었다. 오래전부터 각종의 알젓과 속젓‚ 그리고 새우‚ 명태‚ 조기‚ 멸치 황새기‚ 조개‚ 소라‚ 게 등등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어패류를 소금에 절여 젓동이에 담고 아가리를 널찍한 돌로 눌러 놓았다가 밑반찬이나 조미료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보통 부엌이나 살림의 규모가 큰집들은 부엌 말고도 반찬을 장만하는 반빗간(또는 마루방)과 마루방 옆의 창고인 장광 등의 장소에 곡식을 가득담은 큰 질독 뿐만 아니라 젓갈독들도 보관되어있다. 젓갈에 따라서 장독대에 놓이는 젓갈독이 있고 장광에 놓이는 새우젓‚ 멸치젓‚ 조기젓을 담는 큰독들이 있고 곤쟁이젓‚ 소라젓 같은 것을 담는 작은 독들도 있다. 젓갈독는 어패류를 소금에 절여 장기간 저장하는 데에 쓰이는 용기로 배에 싣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배항이라는 커다란 젓독에서부터 젓조쟁이라고 하는 작은 것 까지 그 크기는 다양하다. 젓갈독은 다른 항아리에 비해 직선적이며 입이 넓다. 모양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동이의 형태로 입과 밑의 크기가 같은 것과 입이 밑보다 큰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원래 젓갈독의 고형은 입과 밑이 거의 같은 크기였으나 입이 큰 젓갈독이 만들어진 것은 일제 강점기 에 일본상인들에 의해 용량은 같으니 내용물이 더 많이 들어 있는 것처럼 보이기 위함이라한다. 법은 잿물이 마르기 전에 손으로 그리는 그림이 대부분이다. 풀꽃문 사이에 곡식을 상징하는 타원형이 같이 그려져 있는 문양이 있는데 제일 위쪽 중앙에 꽃을 그려 장식해 주기도 한다. 특히‚ 대칭풀꽃문은 자손의 번창함을 상징하는 난초로도 본다. 이 젓독에 福자도있는데 손띠 그림 보다는 후에 새겨져 넣은 형태로 필요와 용도에 따른 각인을 새긴다. 복문(福文)은 복을 누리고자 하는 바램이 담겨있다. <사회문화적 의의> 옹기가 언제부터 보편적 생활용기로 쓰였는지는 명확하지는 않지만 우리 전통적 생활도구와 방식 속에서 우리네 삶과 결코 떼어서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한 위치와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식생활과 생업 그리고 민간신앙 등 생활전반에 걸쳐 쓰이지 않은 게 없을 정도로 그 쓰임새가 다양하였고 거기에 쓰임새에 따라 모두 달랐지만 생활약식의 변화에 따라 자연히 거의 찾아 볼 수가 없게 되었다. <유사관련용어> 젓독‚ 젓항‚ 젓동이‚ 배항‚ 젓조쟁이 이 젓독은 근개띠를 두르고 있다. 근개의 모서리 부분을 이용해 주로 어깨부분에 가느다란 음각선으로 표현되는데 전과 평행한 직선형이 대부분이며 물결문양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근개띠는 대부분 1줄 이상 나타나며 띠와 띠 사이에는 음각의 물결문을 근개로 때려 그려 넣거나 누름띠‚ 꽃도장 등의 문양이 같이 표현되어 있는 것도 많다. 근개띠는 대부분의 항아리에서 보여 지는데 항아리 뚜껑을 덮었을 때 항아리가 외소해 보이지 않고 둥그스름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풀꽃문은 풀과 꽃모양을 표현한 풀꽃문은 주로 대칭으로 많이 그려져 전체적으로 안정된 느낌을 준다. 본 박물관 소장품은 양손을 이용하였는데 표현방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