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제등

추천0 조회수 3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제등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자루가 있어 들고 다닐 수 있게 만든 등. <개설> 제등은 밤이나 의식 때 가지고 다니는 휴대용 조명기구로 자루를 잡고 이동을 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주로 철사‚ 놋쇠‚ 대나무‚ 나무 등으로 골격을 짜맞추고‚ 표면에는 한지나 깁(紗)을 발랐다. 윗 부분에 손잡이를 달아 이동하기에 편리하도록 만들었는데 등의 내부에 초를 넣은 것은 초롱‚ 등잔을 넣은 것은 등롱‚ 청사나 홍사를 씌운 것은 청사초롱‚ 홍사초롱이라 부른다. 청사 또는 홍사초롱은 주로 의례용으로 사용하였으며‚ 조촉은 정재(呈才:궁중의 경사스런 잔치에 연행되된 춤) 때 풍악 진행의 신호로 사용하였던 붉은 비단으로 만든 초롱의 일종이다. 용머리가 장식된 긴 대 끝에 초롱을 달아 세우거나 뉘어 풍악의 진행과 멈춤을 알렸다. 조족등(照足燈)은 궁중의 빈전이나 순라꾼이 야경을 돌 때 사용하였던 것으로‚ 그 형태가 박과 같다하여 박등‚ 도적을 잡을 때 사용한다 하여 도적등‚ 또는 조적등(照賊燈)이라고도 불렀다. 등의 형태를 보면 뼈대는 대가지나 쇠로 만들고 표면에는 누비주름 무늬의 기름종이를 두껍게 바르는데‚ 밑은 잘라 틔었다. 위쪽에는 손잡이를 붙이고 등의 내부에는 초를 꽂는 철제의 회전용 돌쩌귀가 있어‚ 등을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 돌려도 촛불이 꺼지지 않는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