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지승 다래끼

추천0 조회수 4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지승 다래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2-0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대?싸리?고리버들 따위로 결어서 만든 입이 작은 바구니. <개설> 다래끼는 아가리가 좁고 바닥이 넒은 작은 바구니로 지역에 따라 ‘다라끼·다래키·영성(洛胥)·다락지·두래미·다래미’라고도 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다래끼는 재료를 지역의 특성이나 쓰임새 또는 모양에 따라 짚이나 싸리·대·고리버들·댕댕이덩굴 등 다양한 재료를 써서 만들기도 한다. 짚으로 엮은 것은 주둥이가 좁고 밑이 넓으며 바닥은 네모꼴이다. 주둥이 양쪽에 달린 끈을 허리에 둘러 감아서 배에 찬다. 싸리로 짠 것은 주둥이 안쪽에 짧은 막대를 대고 멜빵을 달아 어깨에 메거나 배에 둘러찬다. 콩이나 팥 또는 감자 따위를 심을 때 씨를 여기에 담아 뿌린다. 또‚ 들이나 산에서 캔 나물이나 고추를 따서 담으며‚ 농가의 어린이들은 이것으로 고기를 잡기도 한다. 무게는 300∼500g이다. 다래끼보다 조금 작게 짠 것을 ‘종다래끼’라고 하며‚ 이것은 지역에 따라 ‘종다리·종댕이’로도 불린다. 〈농가월령가〉에는 ‘다라키’로 표기되었다. 농가에서 논밭에 씨를 뿌릴 때에는 다래끼나 종다래끼 외에 바가지·소쿠리·말·되·양재기 따위의 간편한 그릇을 쓰기도 한다. (이 다래끼는 중간은 불룩하고 구연부가 약간 좁아진 형태를 지승을 엮어 만들어 생칠을 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의 농기구(김광언‚ 문화재관리국‚ 1969)‚ 한국농기구고(김광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6)‚ 서울민속대관-생업·교통·통신편(이석무 외‚ 서울특별시‚ 1995)‚ 우리 짚풀문화(인병선‚ 현암사‚ 199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