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광양다압섬진진터석비좌대 (光陽 太鴨 蟾?鎭址 石碑座臺)_섬진진지유래비

추천0 조회수 4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광양다압섬진진터석비좌대 (光陽 太鴨 蟾?鎭址 石碑座臺)_섬진진지유래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5-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광양다압섬진진터석비좌대에 대한 설명입니다.다압면 도사리 섬진마을에 위치하였던 섬진진은 하동과 연결되는 가장 큰 규모의 군사 요충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뿐만 아니라 진상면에는 섬거역이 있었고‚ 다압면 신원리 원동에는 섬진원이 있어 섬진나루는 전라도와 경사도를 잇는 교통의 요충지였다. 문헌상 섬진진에 대한 기록이 나타나는 것은 임진왜란 때이다. [湖南鎭地]에 의하면 '처음 섬진에 군사를 배치한 사람은 이충무공으로 섬진의 건너쪽인 豆?에 助防軍을 두어 이곳을 지키게 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曦陽誌]에 "임진왜란 후인 1603년 통영에서 이곳을 都廳을 설치하고 군사를 뽑기 시작하였으며‚ 정식으로 수군진을 삼은 것은 1705년으로 이곳에 종8품의 별장을 두었다"고 하였다. 이 별장의 직급을 언제 높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여지도서]에는 종6품으로 기록되어 있다.
섬진진에는 성이 축조되지는 않았으나 [曦陽誌]에 "誓涇館"이란 집무청 및 창고 6채와 衙舍 등 8채의 집이 있으며‚ 병선으로는 防船 2隻‚ 伺候船 2隻이 있었다. 또한 당시의 주둔군은 359명이었으며‚ 鎭 주변에는 민가 88호가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록 당시 鎭은 폐쇄되고 없었으므로 구체적으로 어느 시기를 가리키는 것인지 알 수 없고 鎭이 폐쇄되기 이전인 1895년 이전이라는 것만 알 수 있을 뿐 자세한 것은 알 수 없다. 현재 鎭址의 유적상황을 살펴보면 [수월정유허비] 주위에 별장들의 공적비를 세웠던 것으로 추정되는 비의 좌대 4기가 남아 있다. 또한 衙舍와 內衙‚ 진창과 작청‚ 군기‚ 장청‚ 성황당 터와 배를 묶는데 사용하였다는 선돌바위가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