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논해1(論解 一)

추천0 조회수 17 다운로드 수 4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논해1(論解 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유교경전. 공자(孔子)와 그 제자들의 언행이 담긴 어록인 『논어(論語)』의 원문에 토를 달고 언해한 책. 목판본(木版本). 사주단변(四周單邊)‚ 하향이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 반엽(半葉)‚ 유계(有界) 10행. 표지 2장‚ 본문 56장. 표제(表題)는 논해(論解 一)‚ 권수제(卷首題)는 논어언해(論語諺解 卷之一)임. 판심제(版心題)는 논어언해(論語諺解 一)임. 본문은 학이(學而)‚ 위정(爲政)‚ 팔일(八佾)‚ 이인(里仁)‚ 공야장(公冶長)으로 구성됨. 원문인 한문 바로 밑에 한글로 음과 토를 달았음. 표지 오른쪽은 꼰 실로 5바늘 꿰어 엮음. 앞표지 안쪽에는 ‘己酉正月十七日 己酉正月十七日’이 묵서(墨書)됨. 뒤표지 안쪽에는 ‘己酉正月十七日’묵서되었고‚ 연필로도 쓰였음. 본문 중간에 붓글씨를 연습한 한지가 끼워져 있음. 본문 마지막 장에는 ‘壬午新刊 嶺營藏板’이 인쇄됨. 내지는 표지에 붙어 있음. 본문 일부에 관주(貫?)와 방점(傍點)이 있음.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nf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