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죽림칠현도무늬 큰 접시

추천0 조회수 5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죽림칠현도무늬 큰 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섬세하게 새긴 문양으로 장식된 사각 대반이다. 이 대반은 칠을 여러 번 하여 표면을 두텁게 한 후 무늬를 새기는 조칠(彫漆) 기법으로 만들었다. 특히 이 대반과 같이 주칠(朱漆)을 발라 새긴 것은 척홍(剔紅) 또는 퇴주(堆朱)라고 한다. 중앙에는 위(魏)나라 말 부패한 정치권력에 등을 돌리고 죽림(竹林)에 모여 거문고와 술을 즐기며 청담(?談)으로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은자의 모습을 담은 죽림칠현(竹林七賢)을 표현하였다. 왼쪽에는 거대하고 화려한 삼층 전각으로 표현된 현실 공간이‚ 그리고 중앙에서 오른쪽으로 이와 대비되는 공간인 죽림이 펼쳐져 있다. 구름 아래 앞쪽 산과 먼 산 사이에 펼쳐진 이 은둔 공간 죽림 안에서 칠현들은 소나무 아래 바둑을 두거나‚ 대숲 속에서 술을 마시며 한담을 하고‚ 두루마리를 펼치며 시서화를 논하고 있다. 대반의 가장자리에는 두 송이의 동백꽃을 중앙에 두고 좌우로 매화나무에 앉은 새를 새겨 이 공간을 자연의 한 영역으로 포함시켰다. 죽림칠현도는 명대 후반에서 청대 초기에 크게 유행하였는데‚ 인물보다는 산수 배경을 강조한 구도가 특징이다. 이 사각 대반의 장면 또한 이 같은 시대적 유행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