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어문

정필충

추천0 조회수 4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정필충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6-07-21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정필충 호 : 효겸/팔우헌 활동시기 : 조선시대 본 관 : 동래 상세설명 본관은 동래‚ 자는 효겸(孝兼)‚ 호는 팔우헌(八友軒)이며 비와(卑窩) 중대(重岱)의 아들이다. 1759년(영조 35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학유.승문원 정자를 비롯하여 사헌부 장령.형조 좌랑 겸 춘추관 기사관 등 여러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일찍부터 승지 고유(承旨高裕).참판 강한(參判?翰)등과 동문수학(同門修學)하고 동방급제(同傍及第)하여 그 개결(介潔)과 학행(學行)을 조정 안에 떨쳤다. 사헌부 감찰때는 권문세가 구애받지 않고 불의를 보면 직간(直諫)하니 임금께서도 그의 그릇을 몹시 아끼시고 근신(近臣)에게 "정모(鄭某)의 강직(剛直)은 옛 간관(諫官)도 따르지 못하리라"했다. 어느 날 영조(英祖)가 편전(便殿)으로 공을 불러 치정(治政)을 논(論)할 때 전대의 세세한 연혁과 치적의 우우(優愚)와 현부(賢否)를 들어 "신이 생각컨데 열성조(列聖祖)가 끼치신 바가 모두 잘 되었다고는 할 수 없나이다"하...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gb.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