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청동반자

추천0 조회수 9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청동반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불교사찰에서 사용하는 불구(佛具)의 하나로 금속으로 만든 일종의 북으로‚ 금고(金鼓) 또는 금구(禁口)‚ 반자(半子‚ 飯子‚ 盤子)라고도 한다. 주로 공양 시간을 알리거나 대중을 불러 모을 때 사용된 것으로 현재 고려시대 제작된 금고가 상당수 전래되고 있다. 조선시대에도 널리 제작되었으며‚ 현재에도 같은 용도로 많은 사찰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 유물은 지름 40.5cm의 반자(飯子)이다. 앞면은 세 줄의 융기선으로 동심원이 돌려져 있어 3개의 문양대로 나누어져 있는데‚ 중심의 원에는 연꽃의 자방(子房) 5개가 배치되어 있다. 이곳을 나무방망이로 두드려 소리를 낸다. 주변에는 14엽(葉)의 연꽃잎이 배열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화려한 보상화문(寶相花文)을 구성하고 있다. 가장자리의 문양대에는 당초문(唐草文)이 장식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고리가 세 개 달려 있다. 전체적으로 징과 같은 형태로 뒷면은 가운데가 크게 뚫려 있다. 표면이 부분적으로 검게 부식되어 있으나 보존상태는 양호하다. 불교에서는 연꽃을 청결‚ 순결의 상징물로 여겼는데 그것은 늪이나 연못에서 자라지만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속성 때문이다. 연꽃의 이런 속성을 불교의 교리와 연결시켜 초탈‚ 보리‚ 정화 등 관념의 상징으로 간주하였다. 보상화무늬는 연꽃을 모체로 하여 꽃잎들을 층층이 중첩시켜 화려한 색채와 장식성을 부가한 것이다. 통일신라 이전에도 이와 유사한 무늬가 있었으나 단층의 조형화가 비교적 간단하였다. 그 뒤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서는 문양이 보다 화려해지면서 다방면에 걸쳐 사랑받았다. 보상화의 보(寶)는 진귀함을 뜻하는 말로 불교에서는 탑을 보탑이라고 하는 것이 같은 용례이다. 보상화는 천상계를 상징하는 꽃이다. 성인이 득도하였을 때나 하늘에서 내려올 때‚ 또는 하늘로 다시 올라갈 때의 그림에는 여러 모양의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