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청자잔및받침대

추천0 조회수 6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청자잔및받침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청자 잔과 잔받침으로 상감기법이 사용되었다. 고려청자의 장식 기법 가운데 가장 독창적인 것이 상감기법인데‚ 이 기법은 조각칼로 나타내고자 하는 무늬를 음각한 후 그 홈에 붉은 흙이나 흰 흙을 감입한 것으로 문양의 표현이 사실적인 것도 있지만 도안적인 성격이 강하다. 잔은 바닥이 좁으며 아가리가 안쪽으로 좁아든 형태이다. 아가리부분에 번개무늬를 연이은 무늬가 위에 1줄‚ 아래에 2줄의 권선 내부에 배치되었고 아래쪽 권선의 외부에는 구슬이음문 1줄을 돌리고 있다. 그리고 이 원을 돌린 아랫부분‚ 즉 중심에는 국화문이 4곳에 배치되었고 국화문 사이사이에 구슬이음문에서 이어져 내린 꽃무늬가 배치되었다. 잔의 아랫부분에는 2줄 선을 돌려 문양대를 만들고 그 안에 연판문을 백상감하여 돌렸다. 잔 받침은 위면 중심에 잔 형태가 도드라지게 자리하여 나뭇잎 문양이 새겨졌으며 그 바깥으로 잔 받침이 있는 형태이다. 국화는 중국의 시인 도연명이 자신의 지조를 굽히지 않고 관직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와 소나무와 국화를 벗하면서 살았다는 일화로 인해 군자의 맑은 아취와 높은 절개를 지닌 꽃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은군자(隱君子: 속세를 떠나 숨어 사는 군자)‚ 은일화(隱逸花: 속세를 떠나 숨어있는 꽃)라는 별명은 여기에서 연유한다. 또한 늦은 서리를 견디면서 그 청초한 모습을 잃지 않는 국화의 생태는 길상 또는 상서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다. 영초(齡草: 나이든 식물)‚ 옹초(翁草: 나이든 식물)‚ 천대견초(千代見草: 천대에 걸쳐서 볼 수 있는 식물)라고도 하여 장수의 상징이 되기도 한다. 선비들이 사용하는 문방도구에서 사용된 국화문은 대부분 높은 절개·절조를 상징한다. 번개문은 지그재그 모양 또는 갈 지(之)자 모양의 무늬를 가리키는데‚ 이는 곧 번개를 상징하는 무늬이다. 번개는 농경사회에서 가뭄에 비를 몰고 오는 길조로 여긴다. 또 번개문은 연속되는 무늬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연속되어 끊어지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 최대의 길상을 상징한다. 구슬이음문은 일종의 테두리 문양으로 크고 작은 구슬형태의 원무늬가 연속한 모양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구슬이음문은 중국의 위진남북조 시기에서 수당시대에 성행하였던 것으로 고대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이보다 일찍이 유행하여 일반적으로 그 기원을 서아시아에 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구슬이음문은 태양을 상징하거나 불교의 보배(佛?) 혹은 세계와 생명을 상징한다. 연판문은 연꽃의 꽃잎을 펼쳐 놓은 모양을 도안화시켜 연속무늬를 구성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형태는 주로 도자기의 어깨부분이나 굽 혹은 저부의 둘레에 사용되었는데 이는 연꽃이 지닌 특별한 상징적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