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명경대와 옥경대‚ ≪해산첩≫

추천0 조회수 11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명경대와 옥경대‚ ≪해산첩≫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수영(字 君芳‚ 號 之又齋)은 평생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시문서화詩文書?와 기행사경紀行寫景‚ 지도地圖를 제작하며 일생을 보냈다. 그는 산수화를 비롯한 다양한 화제를 다루면서 독창적인 화풍을 형성했다. 《해산첩》은 정사년(1797) 가을‚ 그의 친구인 여춘영呂春永(1734~1812)과 함께 금강산을 유람하면서 그린 초본을 바탕으로 2년 후에 화첩으로 제작한 것이다. 화첩의 표지에 ‘해산첩涇山帖’이라고 적혀 있으며‚ 23점의 그림과 3점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첫 번째 그림은 담탕?宕(생몰년 미상)이라는 사람이 그린 수묵산수화이고‚ 다음부터는 정수영의 그림으로 금강산 전체를 그린 <금강전도金剛全圖>부터 <옹천에서 멀리 바라보다甕遷遠眺>까지 내외금강內?金剛‚ 해금강涇金剛‚ 고성高城의 명승지名勝地를 여정에 따라 담아냈다. 글은 <동유기東遊記>를 비롯해 모두 정수영의 글씨이고‚ 이외에도 그림의 화면 위쪽 여백이나 좌우 여백에 일정‚ 풍경‚ 유래 등을 자세히 기술한 기행문이 실려 있다. 이 화첩에는 분방한 필치와 간략한 묘사‚ 몽당붓의 사용‚ 담채의 선별적 사용‚ 윤곽이 선명한 각진 바위 등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이 장면은 ≪해산첩≫의 제 7면인 < 명경대와 옥경대> 그림이다. 정수영은 장안사를 출발하여 영원암靈源菴으로 향하는데‚ 가는 길에 옥경대?鏡臺에 올라 그 앞에 우뚝 서있는 명경대明鏡臺를 감상하고 이 그림을 스케치하였다. 화면 상단의 기행문에는 이 그림의 주요 경물과 주변 지형‚ 이에 대한 자신의 인상을 서술하였다. 기행문에서 언급한 순서대로 화면 왼쪽 옥경대?鏡臺부터 우측으로 명경대明鏡臺와 지옥문地?門‚ 그 하단에 황천강黃泉江을 묘사하였고‚ 작은 글씨로 지명을 적었다. 담묵의 갈필을 이용하여 바위 주름과 윤곽을 표현한 뒤 농묵의 필선으로 강조를 하였다. 또 홍색으로 나뭇잎을 표현하여 단풍으로 물든 가을 산의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정수영의 글과 인문 自長安發向靈源‚ 歷登?鏡臺. 前有一?石特立‚ 狀?屛障然‚ 高可數百丈‚ 面廣數十餘尺. 上面靑墨色‚ 腰腹頗黃‚ 下邊復靑黑‚ 間有黃白雜線‚ 足謂明鏡臺. 臺右東邊‚ ?石爲城‚ 中爲門樣‚ 以地?爲名‚ 其下川謂之黃泉江. 僧言門內渙處‚ 有地藏峯十?峯‚ 故有是名云. 장안사에서 출발하여 영원암靈源菴으로 가는데‚ 가는 길에 옥경대?鏡臺에 올랐다. 앞에 큰 바위 하나가 우뚝 서 있어 모양이 병풍과 같고‚ 높이는 수백 길에 달하며‚ 전면의 넓이는 수십여 척이 된다. 윗부분은 검푸른 빛이고 허리와 배의 부분은 약간 누런빛이요‚ 아랫부분은 다시 검푸른데 사이로 누르고 흰빛의 줄이 섞여 있다. 명경대明鏡臺라는 이름과 잘 어울린다고 하겠다. 명경대에서 오른쪽 동편에 돌이 쌓여서 성이 되고 가운데는 문이 되었는데‚ 이것을 ‘지옥문’이라 하고‚ 그 밑으로 흐르는 물은 ‘황천강黃泉江’이라 한다. 중들의 말에 의하면 “문 안의 깊은 곳에 ‘지장봉地藏峯’과 ‘시왕봉十?峯’이 있어서 이렇게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印文 | 「鄭氏君芳」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