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중등한문 1

추천0 조회수 3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중등한문 1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한자 문장을 중심으로 해석과 문법을 교육하기 위한 중등교육용 한문 1 교과서이다. <목차> 第一課 入門(입문)(一) 第二課 入門(입문)(二) 第三課 入門(입문)(三) 第四課 人(인) 第五課 少年(소년) 第六課 入學(입학) 第七課 花(화) 第八課 愛(애) 第九課 ?韓地域(대한지역) 第十課 地質(지질) 第十一課 國內名山(국내명산) 第十二課 ???(대양주) 第十三課 家族(가족) 第十四課 直系血族(직계혈족) 第十五課 萬象(만상) 第十六課 萬物之長(만물지장) 第十七課 方. 色. 數(방‚ 색‚ 수) 第十八課 昌慶原野鴨(창경원야압) 第十九課 四時(사시) 第二十課 運動(운동) 第二十一課 ?陰(석음) 第二十二課 自立(자립) 第二十三課 人種(인종) 第二十四課 ?體(천체) 第二十五課 地球(지구) 第二十六課 雨(우) 第二十七課 空氣(공기) 第二十八課 公園(공원) 第二十九課 春日(춘일) 第三十課 知能(지능) 第三十一課 衣食住(의식주) 第三十二課 米(미) 第三十三課 度量衡(도량형) 第三十四課 豫備(예비) 第三十五課 龜兎競走(구토경주) 第三十六課 言. 行. ?(신‚ 행‚ 사) 第三十七課 習熟(습숙) 第三十八課 橋(교) 全課補習(전과보습) 1. 品詞解說(품사해설) 2. 要點(요점)의 解說(해설) <주요내용 및 특징> 우리 선조의 가언(嘉言)과 선행(善行)을 많이 취재(取材)하여 수록하였으며‚ 다양한 주제로 구성된 한자 문장의 해석과 이와 관련된 문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과는 본문과 연습(練習)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습은 다시 단구(短句)‚ 설문(說問)‚ 해의(解義)‚ 구례(句例)‚ 현토(懸吐)로 되어 있다. 미군정 하의 학무국은 1945년 9월에 각 학교의 새로운 교과목 편제와 시간 배당을 발표하고‚ 국어 교육의 보급에 치중하였다. 이 시기 초등학교에서는 새로운 시민을 육성하기 위해 공민과를 신설하였고‚ 1946년 9월부터는 교육심의회(敎育審議會)에서 새로운 교과과정을 편성하여 교과목 중 사회생활과를 신설하였다. 교육심의회는 1946년 6월에 학제를 6‚6‚4제로 개혁하였다. 국민학교는 6년 의무교육과 수업료 폐지‚ 취학 연령을 6세부터 11세로 하였고‚ 중학교의 수업 연한은 3년‚ 고등 중학교는 6년으로 하였다. 사범학교는 3년제로 15세부터 17세까지를 대상으로 하였고‚ 실업 및 기술교육이 3년제의 실업 초급 중학교와 실업 고급 중학교 및 단기양성소 등을 통하여 실시되었다. 대학의 경우는 수업연한을 4년제로 함과 동시에 취학 연령을 만 18세부터 21세까지로 정하였다. 학무국은 1946년 11월 《교수요목(敎授要目)》을 발표함과 아울러 교과서 편찬사업에 주력하였다. 교수요목의 특색은 교과 지도 내용의 상세화‚ 분과주의 채택과 체계적 지도를 통한 지력 배양‚ 홍익인간의 이념에 의한 애국 애족 교육과 일제 잔재의 제거 등을 들 수 있다. 1949년 최초의 <교육법>이 마련되면서 6‚3‚3‚4제의 학제가 확립되었다. 국민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초등 보통 교육을 목적으로 한 초등학교의 수업 연한은 6년‚ 국민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위에 중등 보통 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중학교의 수업 연한은 3년‚ 중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위에 고등 보통 교육과 전문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고등학교의 수업연한은 3년이다. 또한 학령을 초과하였거나 정규학교에서 교육을 받을 수 없는 아동을 위하여 공민학교(公民學校)와 고등 공민학교를 설치하였고‚ 초급 기술 교육을 위한 기술학교와 고등 기술학교 제도를 두었다. 1950년 6·25 전쟁으로 인해 교육은 노천에서 교과서 없이 생활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문교부는 교과서 문제를 해결하고 전시 생활을 지도하기 위해 《전시독본》을 발간하여 국민학교와 중학교에 제공하였다. 1951년 <전시임시교육요강>을 마련한 문교부는 어려운 사정을 극복하면서 학생들에게 임시 교재를 공급하였고‚ 당시에 편찬된 임시 교재는 국민학교용 《전시생활》과 중등학교용 《전시독본》 등이 있는데‚ 이들 교재의 성격은 반공과 통일의 당위성을 강조하는 내용이 중심을 이루었다. 전시 교육의 목표는 멸공 통일과 전후 재건에 있었으며‚ 교재는 전시 생활지도에 중점을 두었고‚ 중학교 이상에는 1인 1기 교육을 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