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대접

추천0 조회수 1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대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사발보다 더 크며 국이나 국수 등을 담는 용기를 대접이라고 한다. 또는 대첩(?貼)으로도 쓰인다. <발달과정/역사> 고려‚ 10세기 후반 중국의 기술을 바탕으로 서남해안지역에 벽돌가마(塼築窯)들이 만들어지면서 초기 청자요업이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자는 초기청자와 함께 제작되는 양상을 보이는 데 초기의 요지로 알려져 있는 용인서리가마터에서도 백자가마가 발굴된 바 있어 고려초기의 요업양상은 청자와 백자 또는 청자와 도기가마가 동시에 운영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그 수법은 조선으로 이어져 자기의 주류를 이루게 된다. 고려의 백자는 단단하지 못한 연질백자 계통으로 제작되었으나 14세기 종반이 되면 원(元)의 영향으로 우리나라도 백토가 산출되는 곳을 발견하여 경질의 백자를 제작하려는 시도가 계속된다. 조선의 건국과 함께 명(明)이 은(銀)의 무리한 조공요구에서 벗어나고‚ 질적으로 하락한 청자를 대신하며 당시 위정자들의 취향을 반영할 만한 순백의 백자에 대한 수요는 조선에서도 중국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경질백자(硬質白瓷)를 만들어 낸다. 대접모양의 그릇은 빗살무늬질그릇시대의 발형도기(鉢形陶器)에부터 등장한다. 고려초기에는 주로 대접과 유사한 완(碗)의 형태가 만들어져 찻잔으로 사용되었고‚ 점차 완이 잔으로 바뀌어 가면서‚ 완의 형태는 더 커져 대접으로 사용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용인 좌항리 제8호에서 출토되었다. 기형상 V자형으로 크게 벌어지는 대접으로 굽에서 구연까지 직선으로 벌어지다가 구연부에서 골을 두어 약간 외반되는 형식을 취하였다. 구연은 가장자리가 얇고 가늘게 처리되었고‚ 내면에는 상단에 한 줄의 음각선을 둘렀다. 내저면에는 넓은 원각을 두었고‚ 원각의 크기보다 작은 둘레로 4개의 내화토를 받친 자국이 나있는 걸로 보아 대접보다 작은 기형이 포개어 구워진 듯하다. 높은 굽은 하단이 좁아지는 형태로 단정하게 깎았고 좁은 접지면에는 내화토 받침자국이 보인다. 약간의 푸른빛이 도는 유약이 시유되었고‚ 전체적으로 고르다. 기형과 유색의 발색으로 보아 인접한 용인서리요의 번조품과 유사하며‚ 기물이 가볍고 매우 얇다. <참고문헌>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명지대학교박물관‚《용인 좌항리 고려분묘군 발굴조사보고서》‚ 1994. 호암미술관‚《용인서리고려백자요 발굴조사보고서Ⅱ》‚ 2003.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