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오원 장승업 신선도 병풍

추천0 조회수 80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오원 장승업 신선도 병풍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1843(헌종 9)에 태어나서 1897에 졸하였다. 조선 말기의 화가로 본관은 대원(?元)이고‚ 자는 경유(景?)‚ 호는 오원(吾園)·취명거사(醉瞑居士) 또는 문수산인(文岫山人) 등이 있다. <발달과정/역사> 40세 전후하여 화명이 높아지면서 왕실의 초빙을 받아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 감찰이란 관직을 제수 받았다. 장지연(張志?)의 《일사유사(逸士遺事)》 <장승업전>에 의하면 그는 일찍 부모를 여의고 몹시 가난하여 의탁할 곳이 없다가 수표교(水標橋)부근에 살고 있던 이응헌(李應憲)의 집에 기식하면서 어깨너머로 글공부와 원(元)·명(明)이래의 명적(名蹟)들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던 어느 날 갑자기 신이 통한 듯 그림을 능숙하게 그리게 되어 화명을 날렸다고 한다. 그는 특히 술과 여자를 몹시 좋아하여 미인이 옆에서 술을 따라야 좋은 그림이 나왔다고 하였으며‚ 또한 아무것에도 얽매이기를 싫어하는 방만한 성격의 소유자였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의 이러한 기질은 강렬한 필법(筆法)과 묵법(墨法)‚ 그리고 과장된 형태와 특이한 설채법(設彩法)을 특징으로 하는 그의 작품들에서도 엿볼 수 있다. 그는 산수·인물·영모(翎毛)·기명절지(器皿折枝)·사군자(四君子) 등 여러 분야의 소재를 폭넓게 다루었는데‚ 전반적으로 문기(文氣)어린 격조보다는 뛰어난 기량이 돋보인다. 산수에서는 원말사대가(元末四?家)와 청초(?初)의 사왕오운(四?吳?)계통의 각종 남종화풍과 각체의 북종화풍을 함께 소화하여 그렸으며‚ 특히 밀폐된 공간개념은 명대(明代)의 절파화풍(??畵風)과 상통된다. 기명절지에서는 청나라 말의 조지겸(趙之謙)·오창석(吳昌碩) 등의 화풍과 근대감각이 밴 음영법(陰影法)을 수용하기도 하였다. 그의 이러한 화풍은 조선 말기의 회화를 마지막으로 꽃피우면서 그를 사사한 안중식(安中植)과 조석진(趙錫晋)에게 전하여져 우리나라 근대회화의 토대를 이루었다. 대표작으로 간송미술관 소장의 〈삼인문년도(三人問年圖)〉·〈산수도〉·〈귀거래도(歸去來圖)〉·〈기명절지도〉‚ 호암미술관 소장의 〈호취도(豪鷲圖)〉·〈고사세동도(高士?桐圖)〉가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의 8폭(幅) 병풍(屛風)이다. 중국(中國)의 화보를 그대로 답습하여 그린 그림으로 거칠고 대범한 필치로 다양한 표정의 신선을 그리고 있다. 명폭(名幅)의 상단(上段)마다 달필(達筆)의 시문(詩文)이 배치되었고‚ 그 말미에 <장승업인(張承業印)>‚ <장오원(張吾園)>등의 낙관(落款)을 찍고 있다. <참고문헌> 명지대학교박물관‚《박물관도록》‚ 1996.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김기승‚《한국서예사》‚ 대성문화사‚ 1966. 김윤영‚《한국서화인명사서》‚ 한양문화사‚ 1959. 오세창‚《국역 근역서화징》‚ 시공사‚ 1998.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