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대접편

추천0 조회수 2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대접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경기도 용인시 포곡면 신원리 사기막골 1호 요지 일대에서 수습된 백자대접편이다. <발달과정/역사> 고려시대 만들어지기 시작하던 백자는 조선으로 접어들며 청화(靑畵)나 철화(鐵畵)안료를 사용하여 문양을 그릴 수 있을 정도의 백색과 경도를 확보한다. 동시에 부족한 자원인 금속을 대체하여 자토를 이용한 그릇의 제작이 일반화되면서 백자 소비층은 점점 확대된다. 임진왜란이라는 요업적 시련기를 거친 조선 백자는 이전시기 청화안료에 대신하여 산화철을 주된 안료로 이용‚ 조선적인 미감을 백자에 한껏 투영시킨 모습을 보인다. 18‚ 19세기 백자의 경우 왕실과 사대부 소용 고급백자는 경기도 광주를 중심으로 제작하고 나머지 민간용 백자는 곳곳의 지방가마터에서 만들어낸다. 이 시기 지방 민간용 백자는 이전 시기보다 폭넓은 계층이 사용하게 되면서 수요가 증가하여 기벽이 두꺼워지고 유색은 회백색으로 어두워진다. 사기막골 1호 요지는 포곡면 신원 3리 사기막골 입구에 위치한다. 신원저수지 제방 서쪽 끝 부근의 주택과 고목사이에 자리하는데‚ 이미 민가와 돈사 건축으로 절반 이상이 파괴되었다. 주민들의 말에 의하면 주택과 돈사 건축 시 다량의 요지 폐기물이 나왔으며‚ 최근에도 요지의 잔해물을 진흙길을 덮는 자갈·모래 대용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해발 약 115m 높이에 자리하며 신원저수지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계곡과 구릉의 경계지대에 자리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 주택에서 고목으로 이어지는 잔존구릉의 경사면에 가마벽체편들과 자기편들이 노출되어 있다. 현재 유물이 노출된 요지의 범위는 약 30×30m 이고 가마의 수는 1-2개로 추정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구연이 약간 외반(?反)하며 구연단 밑에서 한번 축약하였다가 완만한 곡선상을 굽에 이르는 외측선(?側線)을 지녔다. 높은 굽은 안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굽바닥의 접지면(接地面)은 좁다. 고운 태토(胎土)에 짙은 회청색 백자유약이 고르게 굽의 내면까지 시유되었다. 내저면(內底面)에는 넓은 원각(圓刻)이 비교적 깊게 돌려져 있고 원각 안쪽에 4개의 모래가 묻은 내화토비짐받침 자국이 남아 있다. 굽바닥부터 굽 내면에 걸쳐 4개의 내화토비짐의 받침자국이 남아있다. <참고문헌>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명지대학교박물관‚《용인 에버랜드 사업부지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2003.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