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도침편

추천0 조회수 1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도침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경기도 용인시 이동면 천리(泉里)일대에서 수습된 도침편이다. <발달과정/역사> 동일한 양의 나무를 가지고 보다 더 효율적으로 요업을 진행시키려는 도공들에 의한 시도는 처음 가마를 통해서 그릇을 구워내던 시기부터 꾸준히 발전했다. 이에 가마를 경사진 구릉에 설치하여 불이 가마 끝까지 자연스럽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한 가마 속에서 구워지는 그릇에 유약을 입히기 시작하면서 그릇의 유약이 녹아 바닥이나 다른 그릇에 붙어버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데 도침은 가마 안에서 그릇의 수평을 유지해줌과 동시에 그릇이 가마 바닥에 붙는 것을 방지해주는 요도구이다. 시기와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도침은 각 요장에서 제작된 자기 이상으로 해당 요장의 도자사적 특성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용인지역은 고려시대에는 용구현(龍駒縣)이라는 명칭으로 불렸고‚ 조선 건국 후 도역을 조정함에 따라 용인현(龍仁縣)으로 승격되었다. 교통이 편리하고 요지(窯址)의 입지조건이 뒷받침되었던 용인은 고려 초기청자 및 조선시대의 요지가 널리 분포된 지역으로 우리나라 도자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가지고 있다. 그 가운데 용인시 이동면 천리(泉里)는 조선시대 15-16세기 백자요지로서 적동 전원주택 단지의 뒤편으로‚ 포장도로에서 계곡 쪽으로 들어가는 입구의 밭과 임야 사이에 위치한 요지(窯址)이다. 유적은 수풀이 무성하지만 퇴적의 일부는 밭으로 개간되어 훼손되었다. 밭과 임야가 접한 경계면에 퇴적이 노출되어 있으며‚ 주변에도 다량의 백자 파편이 흩어져 있다. 백자대접‚ 발‚ 접시‚ 잔‚ 요도구 등이 발견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원반형 도침편(片)이다. 일명 개떡으로 납작한 모양을 하고 있다. 모래가 섞인 암갈색의 내화점토로 제작하였으며‚ 1/2 가량 결실된 상태이다. <참고문헌> 김재열 외‚《용인의 도요지》‚ 용인시 외‚ 1999.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