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저부편

추천0 조회수 2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저부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경기도 고양시 원흥동 일대에서 수습된 청자편이다. <발달과정/역사> 우리나라 청자의 초기 가마터들은 지금까지 서해안‚ 남해안 일대에서만 10여 곳 발견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원흥동 가마터는 경기도 용인시 이동면 서리 가마터‚ 충남 보령시 성연면 오사리 가마터‚ 전북 고창군 아산면 용계리 가마터와 더불어 대규모의 퇴적을 갖춘 곳이다. 이 유적들은 중국 오대(五代) 월주요(越州窯) 청자와의 관련으로‚ 10세기 후반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원흥동 요지는 경기도 고양시 원흥동 나무드머리(닭알부리) 마을 산88번지 일대에 소재하고 있다. 동-서로 흐르는 건지산(해발 86m)의 야트막한 구릉 종단부에 갑발과 축요재로 사용된 장방형의 벽돌이 지표상에 소수의 청자편과 함께 노출되어있다. 발굴 조사를 하지 않아 유적의 상세한 양상을 알 수는 없으나 몇 차례 지표조사에 의해 채집된 유물로 성격을 파악해 보면 갑발류는 일반적인 원통형(圓筒形)과 발형(鉢形)이 대부분이고 초기 청자 요지의 특징인 갑발 받침대(床形匣鉢)가 수습되었다. 자기는 청자로 대부분 무문청자이며 짙은 암록색이나 황갈색을 띈다. 소수의 경우 음각으로 시문한 예가 관찰된다. 시유상태는 양질과 조질이 공존하며 기벽이 대체로 얇은 편으로 당시 요업기술의 수준을 보여준다. 엄청난 양의 갑발편으로 보아 별도의 상번(常燔) 없이 갑번(匣燔)으로만 요업을 진행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초벌하지 않고 소성하여 회청색 태토에 녹갈색‚ 올리브그린 계열의 유약이 얇게 시유되었고 일부는 유약이 말려 태토표면에 방울지는 경우가 다소 있다. 갑발들끼리 포개어진 접합부에 청자유약을 발라 서로 붙어있는 예들이 발견 된다. 이는 초기청자가마터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모습이다. 산지와 시대에 따라 갖가지 구별이 있는 청자는 유약 가운데 미량의 철분이 있어‚ 환원염(還元焰)에 의해 구워지는 과정에서 청록색의 유조(釉調)를 띠게 되는데 대체로 환원이 불충분하거나‚ 또는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으면 유색이 녹황색이나 회녹색‚ 때로는 산화되어 황갈색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청자 저부편이다. 기벽이 선 각도나 내부에 시유상태로 보아 호(壺)로 추정되는 기형으로 태토는 정선된 회갈색이다. 내면에는 물레흔이 보이고 일부만 시유되어 아가리가 비교적 좁은 기물이었다는 유추가 가능하다. 굽 지름은 10cm로 접지면(接地面)은 약 0.5cm로 깎음새가 정교하고 내부까지 시유되었다. 내화토를 받쳐 번조하였으며 유조는 맑은 황갈색이다. <참고문헌> 윤용이‚ <초기 청자요지의 분포와 특색>‚《제1회 동원기념학술대회발표요지문-한국자기 발생에 관한 제문제》‚ 1990.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