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녹청자광구병

추천0 조회수 9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녹청자광구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아가리가 크고 턱이 진 형태의 병. <발달과정/역사> 녹청자(綠靑瓷)란 모래 등이 섞인 거친 태토(胎土)에 나무의 재로 만든 회유(灰釉)을 씌워 구운 것이다. 표면(表面)은 대개 거칠고 유면 역시 고르지 않다. 녹청자는 도기(陶器)에서 청자(靑瓷)로 가는 과도기의 초기 청자로 인식되어 있으나 고려 초기부터 중·후기를 거쳐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제작되었다. 병은 삼국시대 이후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였는데 도자 기형 중에서 가장 큰 발전을 하며 다양한 형태로 계속 제작되었다. 병은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서 형태가 달라지면서 종류가 다양해지고 형상의 대소와 용도에 따른 각기 독특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주로 액체를 담아서 사용하거나 보관하는 용기로서 용도에 따라 크게 주병(酒甁)‚ 장병(醬甁)‚ 유병(油甁)‚ 수병(水甁)‚ 화병(花甁)‚ 기타 용도의 병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광구병은 주로 유병이나 주병으로 사용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어깨에서 급히 벌어져 몸통의 윗부분에서 가장 팽창하였다가 아래 부분으로 가면서 서서히 좁아지는 기형이다. 몸통에는 물레의 회전자국이 선명하게 남아 있으며 전체에 짙은 녹갈색의 유약을 시유하였다. 바닥은 평저이며 모래받침 흔적이 있다. 12세기 제작으로 생각되며 해남‚ 고흥 등의 전라남도 일대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명지대학교박물관‚《박물관도록》‚ 1996. 연세대학교박물관‚《고려·조선시대 질그릇과 사기그릇》‚ 2002. 연세대학교박물관‚《조선시대 질그릇》‚ 1993.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