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분청자접시

추천0 조회수 1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분청자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접시는 운두가 낮고 납작한 그릇의 총칭으로 음식을 담거나 다른 그릇의 밑에 받쳐 사용하기도 한다. <발달과정/역사> 회색 또는 회흑색의 태토위에 정선된 백토로 표면을 분장한 뒤 유약을 입혀 환원염에서 구워낸 분청자는 조선 전기인 15∼16세기에 걸쳐 제작되었으며‚ 임진왜란 이후에는 거의 만들어지지 않았다. 청자에서 백자로 변모하는 과정을 보여주며 그릇표면에 백토를 분장하는 방식에 따라 상감‚ 분청상감‚ 분청인화‚ 분청박지‚ 분청음각‚ 분청철화‚ 분청귀얄‚ 분청담금(덤벙)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의 신석기문화기에서 출토되고 있는 고배(高杯)가 오늘날의 접시의 기원으로 추측된다. 상고시대의 고배형의 그릇은 차차 굽이 없어지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때에는 청자로‚ 조선시대에는 분청사기와 백자로 접시를 만들었다. 이전에는 가제(家祭)에서 제물을 괴는 고배형 그릇을 모두 접시라 칭했는데‚ 이를 통해 원래는 뚜껑이 없는 편편한 식기에 대한 총칭으로 접시란 명칭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서양요리용 접시를 접시라고 지칭하지만 그전에는 가제(家祭)에서 제물을 괴는 고배형 그릇을 모두 접시라 칭하였다. 즉‚ 뚜껑이 없이 편편한 식기에 대한 총칭으로 사용된 것이다. 고려 때에는 청자로 접시를 만들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분청자기와 백자가 접시로 사용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비교적 낮은 접시로 구연은 외반(?反)한다. 내면(內面)은 백토로 귀얄을 이용하여 엷게 분장하였다. 내저(內底)에는 나선형 성형골이 있고‚ 그 바깥쪽으로 사선문이 매우 얕게 찍혀 있다. 그 바깥을 귀얄로 한번 훑어 냈는데 마무리할 때 솔을 사선으로 올려 훑어서 장식적이다. 다른 그릇을 포개어 구운 흔적이 내화토 자국으로 남아있다. 외면(?面)의 귀얄 분장은 매우 엷다. 접지면(接地面)이 좁고 내화토 받침 흔적이 보인다. <참고문헌>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