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붉은간도기항아리

추천0 조회수 3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붉은간도기항아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도기 겉면에 적색 안료를 발라 문질러 광택을 낸 도기. <발달과정/역사>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돌널무덤·집터 등에서 주로 발견되며‚ 남해안지방에서는 신석기시대 유적에서도 출토된다. 고운 흙으로 만들어졌고‚ 기형은 둥근 바닥의 긴목단지이다. 이러한 붉은간도기는 지역차에 의한 특색이 매우 강하며‚ 한반도에서는 함북과 낙동강유역 유적에 중점적으로 집중한다. 회령읍 오동(五?)‚ 웅기 송평동 및 기타 두만강 유역의 주거지유적에서는 적지 않게 출토되며‚ 그 기형으로는 목이 짧은 항아리(短頸壺)를 비롯해 바닥이 얕은 발(渚鉢)‚ 두형토기(豆形陶器) 등 소형이 주로 나온다. 이러한 붉은간도기는 최근 한강 중부 이남 주거지유적에서도 출토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경기 여주군 흔암리유적‚ 충남 서산군 해미면 휴암리‚ 부여군 송국리‚ 전북 부안 소산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부산과 경남 지역에서는 신석기시대 조개더미유적 및 청동기시대의 유적에서 다수 출토된다. 신석기시대의 붉은간도기로는 부산 다대포‚ 김해 수가리‚ 통영 상노대도‚ 무안 하태도 조개더미 출토의 것이 유명하며 신석기시대 전 기간에 걸쳐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무늬는 다양하며‚ 그릇형태는 반란형(半卵形)·독형(甕形)·사발형이 주류를 이룬다. 종래 한반도의 붉은간도기에 대해서는 그 원류를 평북 신암리(新岩里) 유문(有紋)토기처럼 중국 동북지방 채색토기에서 출발한 토기형식이라고 믿어왔으며‚ 또는 중국 화북지방 앙소(仰韶文化)에 나타나는 채색토기에 연원을 두고‚ 그것이 내몽골과 만주지방을 거쳐 함북지방에 들어온 뒤 동해안을 거쳐 중남부지방으로 전파된 것으로 생각해왔다. 현재의 자료로 볼 때는 함경도 붉은간도기가 한강유역으로 퍼진 것이라고 믿어진다. 그러나 중국과 가까운 서북한지역에서는 붉은간도기가 출토된 예가 없고‚ 그 유적이 부산·경남 지방에 집중적으로 분포된다는 점과 남부지방 신석기시대 붉은간도기와의 관련도 생각되므로 이 문제는 앞으로 지역 자체의 토기발전 특징을 바탕으로 하여 새롭게 해석해야 할 것이다. 붉은간도기는 종래 고인돌에서 발견되는 점과 도기의 질 등을 통해 생활용이 아닌 특수용기라고 생각했으나‚ 신석기시대의 조개무지 및 집 자리에서도 다수 출토되고 있어 실생활에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형태는 전체적으로 석류(石榴)를 닮았다. 밖으로 완전히 벌어진 아가리는 끝이 도톰하게 마무리되었다. 짧은 목은 동체로 내려가면서 부풀어지고 동체의 최대복경(最?腹俓)은 중하단부에 위치한다. 그 밑으로 완만하게 좁아 든 몸체는 평저를 이루나 접지면은 좁은 편이다. 산화철이 함유된 안료를 발라 구운 표면은 부분적으로 균열이 나타나지만 전반적으로 광택이 나는 적갈색으로 매끄럽게 처리되었다. 회갈색의 정선된 태토를 사용하였고 무게는 가볍다. <참고문헌> 명지대학교박물관‚《박물관도록》‚ 1996.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