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연화당초문수막새

추천0 조회수 6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연화당초문수막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기와는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눈과 빗물의 누수를 차단하고 이를 흘러내리게 하여 지붕을 결구하고 있는 목재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침수를 막는 방수성과 온‚ 습도의 기후 변화에 오래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그 본래의 기능으로 한 기본 기와와 건물의 경관을 돋보이기 위한 여러 종류의 기와들이 일찍부터 다양하게 제작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기와가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많은 변천을 겪으면서 계속 사용되었는데‚ 지붕에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그 모양이나 명칭이 각각 다르고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함을 살필 수 있다. 수막새는 수키와의 한쪽 끝에 원형의 드림새를 덧붙여 제작한 것으로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형성된 기왓등 끝에 사용된다. 수막새는 막새와 수키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막새는 외측에 둥근 주연이 있고 내측에 여러 가지 문양이 장식되어 있는데 그 중심부에는 둥그런 자방이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삼국시대에 제작된 수막새의 주연부는 무늬가 장식되지 않는 위주였으나‚ 통일신라 이후에 제작된 수막새의 주연부는 주문이나 꽃무늬가 새겨져 시기적인 차이를 보여 주고 있다. 우리나라 수막새는 삼국시대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그런데 막새의 표면에는 연꽃‚ 보상화‚ 귀면‚ 금수 등의 다양한 무늬가 새겨져 다채롭게 변화되고 있는데 연꽃무늬가 주체적인 시문 단위로 채용되고 있다. 연꽃의 형태를 일정한 형식으로 도안화한 무늬이다. 불교에서는 대자대비(?慈??)를 상징하는 연꽃이 조형화되었다. 당초(唐草)는 원래 당풍(唐風) 또는 이국풍(異國風)의 넝쿨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당초문계의 장식요소는 민족의 조형 양식적 특징을 잘 나타내주고 있는데‚ 각기 그 발생지역에 따라 특성을 달리하여 그 지역의 문화적 성격을 뚜렷이 보여준다. 그리스에서 태어난 당초문은 서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서 자리를 잡은 후‚ 중국과 일본에도 전하여져 건축과 공예의 장식문양으로 폭넓게 이용되었다. 당초문은 덩굴 풀과 같은 넝쿨풀이 뻗어나가는 모습을 의장화시킨 것으로 중심이 되는 잎은 계속 굴절되고 가지 잎은 파생하여 반전되고 있는 형상이다. 당초문은 유려한 띠 모양이나 원의 좁고 긴 공간을 메우는 장식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지산리 692-1번지와 그 일대에 위치한 선원사는 현재 사적 제 259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선원사는 고려시대에 몽골의 침입을 피해 강화도에 도읍하며‚ 당시 최고 집권자였던 최우의 원찰이자 대몽 항쟁의 정신적 지주로 삼고자 1245년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이후 선원사는 법보를 봉안한 국찰로서 또 국사를 배출한 선찰로서 발전을 거듭하였고‚ 충렬왕 때에는 임시 궁궐로 사용될 만큼 규모가 웅대했다. 그 후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선원사는 태조 7년(1398) 대장경판이 한양의 지천사로 옮겨진 후‚ 아무런 기록 없이 흔적조차 찾아볼 수 없는 사찰이 되어 버렸다. 1976년 동국대학교 강화도 학술조사단에 의해 최초 조사되었으며‚ 강화군의 요청에 따라 동국대박물관에서 조사단을 발족하여 2001년까지 6년 동안 약 4차에 걸친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선원사지에서 출토된 바탕흙이 회흑색을 띤 경질와로 중심부에는 축소된 8엽의 연화문이 배치되었고‚ 소형의 자방이 돌출되어 있다. 축소된 연화문 주위로 당초로 구획된 6곳에 작은 연화를 배치하였다. 주연부에는 구슬무늬대가 돌려져 있으며‚ 막새 뒷면에는 수키와가 조금 남아있으며‚ 뒷면에는 포목흔이 남아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