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취두

추천0 조회수 8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취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기와는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눈과 빗물의 누수를 차단하고 이를 흘러내리게 하여 지붕을 결구하고 있는 목재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침수를 막는 방수성과 온‚ 습도의 기후 변화에 오래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그 본래의 기능으로 한 기본 기와와 건물의 경관을 돋보이기 위한 여러 종류의 기와들이 일찍부터 다양하게 제작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기와가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많은 변천을 겪으면서 계속 사용되었는데‚ 지붕에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그 모양이나 명칭이 각각 다르고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함을 살필 수 있다. 취두는 용마루의 양쪽 끝에 얹히는 조형물로 괴상하게 생긴 새머리 모양을 하고 있다. 마 장식용은 마루 끝에 삽입되거나 그 위에 얹혀 장식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치미‚ 취두‚ 용두‚ 귀면기와‚ 망새‚ 잡상 등으로 다양하게 나누어지며‚ 각 마루에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그 모양이나 명칭이 각각 다르다. 이러한 마루 기와들은 각 마루의 곡선과 반전을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일종의 장식적인 성격이며‚ 대개 내림마루 위의 하단부와 귀마루 위의 상단부에 잡상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 짧은 부리는 커다랗게 벌리고 있거나 다물고 있는데 머리 위는 뿔 모양으로 솟아 있는 혹이 높게 달려있으며 뒷면과 측면에는 귀면이나 용이 새겨지고 있다. 그런데 크게 벌리고 있는 부리는 용마루를 삼킬 듯이 물고 있는 모습이고‚ 다물고 있는 부리는 용마루 끝에 삽입되고 있는 모습으로 설치되고 있다. 취두는 치미 대신에 고려 중기 이후에 용두와 함께 새롭게 나타난 장식 기와의 하나로 치미와 같은 길상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바탕흙은 적갈색을 띤 회백색의 연질 취두로‚ 앞으로 돌출한 짧은 부리는 커다랗게 벌리고 있으며‚ 입 안에는 여의주로 보이는 구슬을 물고 있다. 머리 위에는 뿔 모양으로 높이 솟아있는 혹이 달려있으며 몸통 측면에는 마치 용과 같이 비늘 모양이 채워져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