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목조나한상

추천0 조회수 2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목조나한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이 상은 나무를 재료로 한 조선시대 나한상이다. 나한은 불교에서 수행을 통하여 온갖 번뇌를 끊고 궁극적으로 깨달음을 얻어 세상 사람들로부터 공양을 받을 만한 모든 공덕을 갖춘 성자이다. 응공(應供)‚ 응진(應眞)‚ 살적(殺賊)이라고도 한다. 소승불교에서 수행의 가장 높은 지위인 아라한과를 얻은 자로서 부처가 열반했을 때 그 법을 전수받아 지키는 수행자의 역할을 한다. 처음에는 부처에게 직접 설법을 들은 불제자를 뜻하였으나 점차 일정한 수행을 쌓고 덕을 갖추게 되면 나한으로 불리며 많은 사람들로부터 공양과 공경을 받게 되었다. 나한을 조각으로 표현한 것으로 좁게는 16나한‚ 18나한‚ 5백나한상을 말하며‚ 넓게는 조사상(祖師像)및 모든 스님형태의 인물상을 함께 일컫기도 한다. 실제의 인물이었던 조사들과는 달리 16나한 ? 5백나한상 들은 다분히 설화적인 인물로 각 존상의 특징을 지니게 되는데‚ 해학성이 높은 인간적인 모습을 지니고 있다. 상의 머리는 민머리 비구 형태이다. 얼굴에는 주름이 있고‚ 눈은 약간 치켜뜬 채‚ 인상을 찌푸린 약간은 엄격한 표정이다. 몸에는 대의를 입고 그 위에 붉은 가사를 입었다. 결가부좌를 하고 왼손은 손바닥을 보인 채 무릎 위에 두고‚ 오른손은 스님들이 참선할 때 쓰는 죽비를 들고 있다. 상이 앉아 있는 대좌는 바위를 형상화한 듯하다. 나한상은 도상이 엄격하게 적용되지 않아 각 상의 특징이 잘 분출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하겠다. 등 부분에는 방형의 복장공이 있다. 복장이란 불교 존상을 조성하면서 배 안에 봉안하는 사리와 여러 가지 유물을 말한다. 이러한 것을 넣음으로써 상이 진신으로 화할 수 있다고 믿었다. 복장 안에는 사리와 사리통‚ 5곡이나 오색실‚ 불경과 의복‚ 다라니와 만다라‚ 복장기나 조성기 등을 머리와 배 빈 부분에 가득 채워 넣었는데‚ 대개 조상경이라는 경전을 따른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