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녹유전

추천0 조회수 2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녹유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녹유는 토기에 사용하는 유약의 하나로 토기의 표면에 연유를 시유하여 청색‚ 녹색‚ 황갈색을 내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연유는 잿물이나 규산에 연단을 섞고 발색제로는 동 또는 철을 섞은 것으로‚ 동은 산화염에서 구우면 청록색이 되고 산소가 부족하거나 철분이 많으면 갈색계통으로 되며‚ 용해도가 700-800℃ 정도여서 가마의 온도가 그 이상으로 올라가면 모두 타 없어진다. 녹유가 표면에 시유된 기와들은 대개 태토가 치밀한 편이며‚ 표면 경도가 약한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녹유를 사용하여 구운 기와는 그 예가 적은 편인데‚ 귀면와‚ 장식와‚ 전돌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녹유기와가 출토되는 유적지로는 월성‚ 안압지 등의 궁궐과 사천왕사지‚ 황룡사지‚ 영묘사지‚ 법광사지 등의 사찰이 대표적이다. 전자의 유적지는 당시 최고 권력의 건축물이며‚ 후자는 사원 가운데 사격이 높은 성전사원이나 원찰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녹유는 아마도 당시 최상의 건축물에만 한정하여 사용된 기와로 추측되며‚ 녹유출토 유적지의 실마리를 해결하는 귀중한 자료이다. 전돌은 삼국시대부터 제작되기 시작하는데‚ 종류와 문양이 다양하며 용도에 따라 바닥전‚ 벽전‚ 기단전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통일신라시대의 바닥전은 종류와 수량 면에서 방대하며‚ 문양은 보상화문과 연화문이 주류를 이룬다. 각종 문양전은 보상화문과 연화문을 제외한 특수한 문양이 나타나는 것을 가리키며‚ 용문‚ 누각문‚ 수렵문‚ 불상문‚ 불탑문 등이 대표적이다. 경주 분황사에서 출토된 연질의 녹유전편으로‚ 바탕흙은 회청색을 띠고 있으며‚ 비교적 정선되었으나‚ 모래가 섞여있다. 전의 한쪽 면에는 무늬가 없는 대신‚ 녹색 물질이 남아있어서 녹유가 모두 떨어져 나간 흔적으로 보인다. 표면은 비교적 매끄럽게 다듬어져 있고‚ 도구를 사용한 희미한 세로줄 흔적이 있다. 다른 한쪽 면에는 커다란 자방이 약간 돌출되어 있고‚ 그 주위에 구슬무늬를 장식하고 꽃술대를 배치하였고‚ 복엽의 연화문을 둘렀다. 꽃잎 사이에는 사이 잎이 돋아있으며‚ 그 바깥쪽은 다시 두 개의 원으로 구획하여 그 안에 구슬무늬를 채워 넣었다. 이 밖에 표면의 탈락으로 전체적인 문양 파악은 어렵지만‚ 인동문으로 보이는 초화형식의 문양이 시문된 듯하다. 인동문은 당초문의 일종으로서 화문(花文)과 덩굴무늬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초화형식이다. 장식문양으로 구성된 인동문‚ 즉 덩굴무늬는 고대 이집트의 화문 형식에서 시작하여 그리스 미술에서 완성을 보았으며 그 사용지역은 광범위하여 북아프리카‚ 시리아‚ 메소포타미아‚ 소아시아‚ 페르시아 등을 비롯하여 인도와 동남아시아 지역‚ 중국 및 한국‚ 일본 등지에서 사용되었던 식물장식문양이다. 인동문은 발생지역에 따라서 그리스의 안테미온(anthemion)계와 아라비아의 아라베스크(arabesque)계로 크게 구분된다. 이러한 인동문은 중국의 구름무늬 양식과 결합됨으로써 고대미술에서 구름의 표현을 인동문으로 변모시키거나 화염형식을 인동으로 표현하게 되는 등 많은 변화를 보여준다. 인동문은 통일신라시대의 기와에서는 수막새 ? 암막새에 단독문양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보상화문과 같이 혼재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