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명문암키와

추천0 조회수 1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명문암키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기와는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눈과 빗물의 누수를 차단하고 이를 흘러내리게 하여 지붕을 결구하고 있는 목재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침수를 막는 방수성과 온‚ 습도의 기후 변화에 오래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그 본래의 기능으로 한 기본 기와와 건물의 경관을 돋보이기 위한 여러 종류의 기와들이 일찍부터 다양하게 제작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기와가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많은 변천을 겪으면서 계속 사용되었는데‚ 지붕에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그 모양이나 명칭이 각각 다르고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함을 살필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이고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는 기와로 수키와와 암키와로 구분된다. 암 ? 수키와는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눈과 빗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수키와는 반원통형의 기와로 모골에서 성형된 원통 기와를 양분하여 제작하게 된다. 수키와는 지붕 바닥에 이어진 두 암키와 사이에 이어져 기왓등을 형성하게 되는데 기왓골을 이루는 암키와와 함께 많은 수량이 제작되고 있다. 기와 중에는 표면에 글자가 새겨진 것들이 있는데 이것은 죽도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직접 쓰거나 도장에 문자를 새겨 찍어서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문자와는 중국 한대부터 유행하기 시작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제작되었다. 고구려의 경우 태왕릉 및 천추총에서 출토된 명문전돌이 있으며‚ 백제의 문자와로는 527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통(?通)’명 기와가 현존하는 최고의 예이다. 통일신라의 기와에 새겨진 문자의 유형을 보면 지명‚ 사찰명‚ 제작연대와 관계된 연호와 간지 등이 있으며‚ 그 외에 제작 장소나 기와의 사용 위치를 알려주는 것도 있다. 이 가운데 사찰명이 새겨진 문자와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존에 알지 못했거나 잘못 알려진 절터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전북 익산 태봉사에서 출토된 연질의 명문암키와편으로 바탕흙은 회청색을 띤 회백색이며‚ 절반가량이 결실되었다. 기와 등에는 박자로 다듬은 흔적으로 보이는 굵은 선이 일부 있으며‚ 가운데에는 ‘방(?)’으로 보이는 명문이 인각되어 있다. 기와의 일부 측면에 와도로 절단한 흔적이 있으며‚ 뒷면에는 조밀한 포목흔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