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동탑

추천0 조회수 1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동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탑은 부처의 진신사리를 안치하는 건조물로 솔도파‚ 수두파‚ 탑파라고도 한다. 원래는 부처의 사리를 넣기 위하여 돌이나 흙 등을 높게 쌓아올린 무덤을 말한다. 탑의 기원은 분명하지 않지만 분묘적인 성격이 있기 때문에 불교 이전부터 행해지고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불사리 탑으로서의 성격은 석존이 열반한 후 그 사리를 여덟 곳으로 나누어 탑을 쌓기 시작한 데에서 비롯되었으며‚ 2-3세기경에는 인도 아육왕이 팔만사천탑을 만들었다고 한다. 따라서 탑은 단순한 무덤이 아니라 부처의 사리를 안치하는 성스러운 구조물로서 불교의 전파와 함께 각 나라에 널리 세워졌으나 나라마다‚ 시대마다 그 의미나 양식이 변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탑의 기원은 목탑에서 부터 출발하였다. 탑이란 항상 공덕을 쌓는다는 의미가 있으므로 높은 누각 형태의 건축 수법을 적용하여 만들었다. 그러므로 예배장소로서의 대탑에서 뿐 아니라 공예적인 소탑에 이르기까지 목탑의 건축 의장을 착실히 따르게 되었다. 이곳에 보이는 탑은 고려시대의 것으로 목조 탑파의 한 형식인 고려 누각 형태를 적용하고 있다. 이것은 주물로서 만들어진 청동탑으로 녹이 많이 생긴데다가 파손이 심하여 기단부만 남았기 때문에 원상을 알기 힘들다. 방형의 탑으로 2단의 기단만 남아 있는데‚ 투조로 만들어졌다. 한 면에는 1층과 2층을 연결하는 계단이 있다. 1층 계단 좌우로는 인물상이 하나씩 서있는데 탑을 지키는 신장상일 것으로 생각되지만 신장으로서의 형상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2층은 목조건물의 난간 형식으로 되어있으며‚ 모서리마다 신장상으로 추정되는 인물상이 있다. 4개 중 하나는 결실된 상태이다. 이 공예적인 소탑은 실내용 불구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